대구상의, 경제 현황·과제 분석…저부가가치 산업구조 탈피 시급

대구성서공단 전경. 경북일보 DB
대구지역의 1인당 지역내총생산(GRDP)이 26년째 전국 최하위로 저부가가치 산업구조 탈피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상공회의소는 8일 ‘대구경제 현황과 과제’라는 제목으로 낸 보고서에서 이같이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 기준 대구 지역내총생산(GRDP)은 50조7960억원, 1인당 GRDP는 2060만5000원이다.

대구 GRDP의 전국 비중은 1987년 4.5%에서 1997년 3.8%, 2007년 3.3%, 2017년 2.9%로 꾸준히 감소했다.

특히 1인당 GRDP는 1992년부터 26년째 전국 최하위로, 전국 평균의 61.1%에 그쳤다. 1위인 울산(6441만원)의 ⅓ 수준이다.

그러나 1인당 개인소득(1756만8000원)은 전국 평균의 95.3%로 광역지자체 가운데 7위에 해당한다.

사업체 수는 20만9376개로 인천보다 많지만, 사업체당 평균 매출액은 8억4800만 원으로 제조업 기반이 취약한 강원과 제주를 제외하면 사실상 전국 최하위 수준(15위)이다.

수출액(81억 달러)의 전국 비중도 1.3%에 그쳐 인구비중(4.8%), 사업체비중(5.2%), GRDP비중(2.9%)에 비해 크게 낮았다.

대구상의는 대구경제 성장이 부진한 이유로 주력업종인 섬유업 경쟁력 약화, 외환위기 당시 지역 건설업체 연쇄부도, 지역 유통업체 시장지배력 상실, 고부가가치 산업구조 전환 실패 등을 꼽았다.

구체적으로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외환위기와 위천국가산단 조성 실패, 삼성상용차 철수 이후 대구국가산업단지를 유치하기까지 국가산단이 한 곳도 없었다고 설명했다.

최근에는 내수경기 침체와 투자 감소로 장기 저성장 국면 진입 우려, 노동환경 변화에 따른 글로벌 경쟁력 약화, 완성차 협력업체 위축 등이 지역경제가 어려움을 겪는 요인으로 지적했다.

대구상의는 대구경제 미래를 위해 대구·경북 광역경제권 형성, 고부가가치 산업구조 재편, 전통산업·뿌리산업 배려와 지원, 중견기업·강소기업 집중 육성 등 방안을 제안했다.

박무환 기자
박무환 기자 pmang@kyongbuk.com

대구취재본부장. 대구시청 등을 맡고 있습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