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신문의 언로(言路)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포털의 횡포는 지역 차별이나 지역 홀대를 넘어 민주주의에 대한 심대한 위협이다. 지금 우리나라는 권력의 중앙집중, 재화의 서울집중이 가속화 하고 있는데 이어 국민의 발언권 또한 중앙집중화가 가속되고 있다. 이 때문에 정치, 경제, 문화 등 사회 모든 부문에서 지방은 소외되고, 예속화 되고, 열세화(劣勢化) 되고 있다. 특히 유력 포털의 횡포로 ‘언로의 서울 공화국’이 현실화 되고 있다.

서울과 지방의 불평등 구조를 심화시키는 요인 중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제 사부(四部)의 역할을 하는 언론의 지역 차단이다. 그렇지 않아도 서울의 거대 신문과 방송사들이 우월적 지위를 갖고 나날이 서울 중심, 수도권 중심 시각의 정보들을 양산해내고 있는데 거대 권력이 된 포털마저 지역 언로를 차단하고 나섰다. 이는 국가 권력이 건강한 국가 경영을 할 수 없게 원천적으로 차별을 고착화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될 것이다.

지난 2월 독점적 지위를 가진 포털 네이버가 검색 알고리즘을 변경하면서 지역 뉴스를 철저히 배제하고 있다. 이 같은 포털의 지역뉴스 차별에 대해 언론 전문가들은 ‘지역뉴스 홀대를 넘어 혐오 수준’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포털은 당장 지역 저널리즘 복원을 위해 ‘사용자 위치 기반 뉴스 서비스’를 도입하고, 지역뉴스를 우선 노출 시킬 수 있게 알고리즘을 개편해야 한다. 네이버가 지난 2월 알고리즘을 변경하면서 PC기반 기준으로 ‘콘텐츠 제휴’를 맺은 지역신문은 단 3개에 불과하고, 일반인의 뉴스 접근이 현실적으로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는 모바일은 전무(全無)한 실정이다.

지난 9일 한국신문협회가 대전 유성호텔에서 연 ‘지방신문 경영혁신 전략 토론회’는 이 같은 포털의 문제에 대한 성토장이었다. 김대경 동아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는 “지역신문이 모바일 뉴스서비스에서 제외된 것은 매우 불합리한 조치”라면서 “이처럼 지역 뉴스를 철저히 배제한 네이버의 공식 입장이 없다”고 했다.

국회는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극 나서야 한다. 국회에 이용자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지역 언론의 기사를 일정 비율 이상 의무적으로 게재하도록 하는 법안이 제출돼 있는데 이를 하루빨리 통과시켜야 할 것이다. 포털사 또한 국가 균형발전과 지방분권 실현으로 민주국가를 실현하기 위해 균형감 있는 역할을 하는데 앞장서야 할 것이다. 정치권과 언론, 포털이 서로 상생하는 생태계 구축을 위해 적극 협력해야 한다.

지방은 모든 영역에서 차별받고 있는데 지방의 현실을 전하는 언론마저 위축되는 현실을 방치하는 것은 국가의 직무유기다. 지방 언론은 지방분권에 필수인 공론의 장으로 지방 언론이 흔들리면 지방분권도 이룰 수 없기 때문에 정부가 지향하고 있는 국민이 주인인 민주주의 국가 또한 이룰 수 없다. 정부 또한 이 문제에 대해 깊은 관심과 협력이 있어야 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