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초 비해 조합원 수 반토막…노조원 70%가 40~50대로 구성
시대변화·경직된 소통구조 등 20~30대 교사 진입 가로막아

28일로 출범 30주년을 맞는 전교조가 중대한 갈림길에 섰다.

체벌 금지, 촌지 금지, 토론 수업 활성화 등 학교 민주화와 교육혁신운동을 선도해 온 전교조가, 한때 젊고 진보적인 교사들의 상징이었다.

하지만, 이제는 내부적으로도 젊은 피 수혈이 최대 과제며, 조직의 명운을 가를 법외노조 해소 문제는 6년째 답보 상태다.

2000년 초 전국적으로 10만 명에 육박했던 조합원 수는 현재 5만 명대로 내려앉았다.

경북·대구 전교조 회원 수는 김대중·노무현 대통령 시절, 합법화였던 때의 경우 최대 1만1800여명에 이르렀다. 이후 이명박 대통령이 집권하고 법외 노조로 지위가 떨어지면서 올해의 경우 5300여 명으로 절반 이상 감소했다.

경북지부의 경우 2000년대 6500여 명에 이르던 회원 수가 현재 3000여 명으로 반 토막 났으며 대구지부도 최대 5300여 명 이었던 회원 수가 2300 여명으로 3000여 명이나 줄었다.

여기다 전교조가 내놓은 현재 조합원(약 5만명)의 세대별 구성은 40대와 50대, 20대와 30대가 약 7대 3 수준으로, 젊은 교사들이 4050 세대에 비해 적다는 점은 조직의 지속 성장이 위협받고 있는 현실을 담고 있다.

이처럼 전교조가 젊은 교사들의 외면을 받는 이유는 무엇일까?

△ 전교조 가입 필요성 줄어.

젊은 교사들은 전교조가 싸움을 통해 이뤄낸 ‘학교 민주화’와 ‘참교육’이 현장에 어느 정도 뿌리내린 상태에다 다른 분야에 비해 교사의 고용 안정성도 좋은 편이라 가입 안 할 이유는 없지만 반대로 꼭 가입할 필요성도 못 느끼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여기다 과거 전교조에서만 얻을 수 있었던 수업혁신 관련 정보도 이제 교사들이 자발적으로 조직한 각종 연구회나 소모임에 가면 쉽게 접할 수 있어서 젊은 교사들이 가입 필요성을 못 느끼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지도부가 정치색으로 조합원 감소

전교조가 내세우는 주장이 지나치게 거시적이라 교사들에게 일상적으로 닿아있지 않고 사회에 대한 비전은 제시하지만, 조합원 개인에게 교사로서의 자아 효능감을 느끼도록 하는 방법이나 희망적인 비전을 제시하지 못하는 것도 원인이다.

전교조 출범 당시 ‘더는 아이들이 맞아 죽어서는 안 된다’는 등 학교 현장에서 벌어지고 있는 학생 인권이나 학습권 개선에 대해 크게 공감을 받았지만, 출범 30년인 지금은 바깥에서 바라본 전교조는 교총처럼 하나의 정치 단체나 이익 단체로 밖에 느껴진다는 여론도 감소에 한 몫을 차지하고 있다.

△대의명분보다는 실리를 따지는 세대 의식 변화.

교육계에서는 교총이든 전교조든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무당파’가 증가하고 있다.

교사들은 대개 임용고사 합격 후 신규 교사 연수 때 여러 교원단체를 처음 접하는데, 신규 교사들이 전교조보다는 실용적 혜택을 많이 주는 한국교직원공제회 쪽으로만 우르르 몰려가는 풍경이 흔해 졌다는 게 교사들의 얘기다.

특히 교권이 추락해진 현실에서 교권침해가 발생해도 노조보다는 교직원공제회에서 나온 ‘교권침해 보험’ 같은 게 위기에 나를 더 보호해줄 것이라는 생각도 전교조 약화의 이유다.

△전교조의 세련되지 못한 이미지, 경직된 소통 구조가 젊은 세대의 진입을 가로막아.

일부 젊은 교사들은 당장 로고부터 ‘올드하다’는 느낌이 너무 강해 정작 그 안에서 내가 원하는 교육 활동들을 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든다고 말하고 있다.

청와대가 국민청원이라는 방식으로 국민의 의견을 직접 수렴하듯, 전교조가 대의원대회 체제에 너무 의존하지 말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현장 교사들과의 소통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지난해 취임한 권정오 위원장은 ‘전교조 이름 세 글자만 빼고 다 바꾸겠다’며 지부별로 2030위원회를 설치하는 등 젊은 세대들이 모일 수 있는 자리를 주기적으로 만들고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활용해 젊은 세대와의 소통도 꾀하는 등 개혁을 예고해 전교조 살리기에 나섰다.

정형기 기자
정형기 기자 jeonghk@kyongbuk.com

경북교육청, 안동지역 대학·병원, 경북도 산하기관, 영양군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