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30년까지 산업구조를 혁신해서 세계 4대 제조업 강국에 도약하겠다고 밝힌 19일 포항이 ‘강소연구툭구’에 지정됐다. 포항시는 ‘전국 최초로 지정됐다’지만 같은 날 김해와 진주, 창원, 안산, 청주 등 전국의 6곳이 함께 지정됐다. ‘강소특구’라는 생소한 이름의 산업 특화지역에 포항이 선정된 것이다.

‘강소특구’는 정부의 풀이대로라면 “우수한 혁신 역량을 갖춘 기술핵심기관을 중심으로 강하게 연결된 자족형 소규모 고밀도 기술사업화 거점을 구축하는 새로운 연구개발특구 모델”이다. 한마디로 지역에 있는 산업체와 학교, 연구기관이 네트워크를 형성해 그 효과를 극대화하고 발전을 유도한다는 것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부)가 행정예고를 거쳐 다음 달 중에 강소특구를 지정 고시하고 하반기부터 시범적으로 기술을 발굴하고, 네트워크 활동을 지원하겠다고 한다. 강소특구에는 특구 내 입주기관에 대한 세금감면과 기술 사업화 지원 등 기존 연구개발특구와 같은 혜택을 받을 수 있을 뿐 아니라 매년 최고 60억 원의 국비를 교부 받는다고 한다.

시는 국내 최고 연구개발과 기술상용화 역량을 보유한 포스텍과 포항산업과학연구원을 기술핵심기관으로, 기술 핵심기관으로부터 3㎞ 이내에 기술 사업화와 생산시설이 입주할 수 있는 포항테크노파크, 포항융합기술산업지구를 배후공간으로 지정했다. 또한 바이오, 나노, 에너지 등의 첨단 신소재와 AI(인공지능) 분야를 특화산업으로 설정했다.

옛 말에 ‘구슬이 서 말이어도 꿰어야 보배’라 했다. 포항은 1986년에 설립된 국내 최초의 산학연 협동 연구 모델 공과대학인 포스텍을 중심으로 한 연구 개발 인프라가 전국 어느 지역 보다 뛰어나다는 평을 받고 있지만 아직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이번 ‘강소특구’ 지정을 계기로 기업과 학교, 연구기관을 탄탄하게 꿰어 제철 산업 이후 지역 먹을거리 창출의 계기를 마련하길 기대한다.

시는 ‘강소특구’ 지정으로 미래전략 핵심산업인 바이오, 로봇, 첨단신소재, 해양자원, ICT융합산업의 육성을 천명했다. 특히 관련 산업과 연계한 바이오오픈이노베이션센터, 식물백신기업지원시설, 지식산업센터, 기술사업화센터 등이 특구 혜택을 받게 돼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라 했다.

하지만 지난 정부의 창조경제혁신센터처럼 정권에 따라 지원 정책이 부침(浮沈)해서는 안 된다. 벤처니, 바이오니, AI니 하는 화려한 수사(修辭)를 어제오늘 들은 것이 아니다. 정말 국민이 먹고 살 수 있는 미래 산업을 육성하는 데 국가의 소중한 예산이 지원돼야 할 것이다. 시가 직·간접 효과로 250개 기업이 이 유치되고, 5500명의 고용이 창출, 8300억 원의 매출이 증대된다는 장밋빛 청사진을 그리고 있다. 강소특구 지정을 계기로 포항시는 물론 경북도민의 일자리와 먹을거리가 창출되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