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대구, 대한민국 명장 90명 배출하고도 기념관 전무
현대산업화 주역 업적 기리고 노하우 전수 장 마련 시급

인천시가 자체 선정해 명장의 전당에 설치한 미추홀 명장 부조 모습.
섬유·산업·전자산업 등 한국 현대산업화의 근간을 이뤄 왔던 경북·대구가 정작 산업화의 주역이었던 기능·기술인들을 우대해 지역의 발전과 자부심 함양의 토대로 삼아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은 현행 숙련기술장려법에 따라 지난 1986년부터 산업현장에서 15년 이상 일하고, 최고 수준의 숙련기술 발전 및 숙련기술자의 지위 향상을 위해 ‘대한민국 명장’을 선정해 오고 있다.

대한민국 명장은 지난 2017년 ‘대한민국명장 선정·운영체계 개편방안’을 통해 인공지능·가상현실·증강현실·나노기술·빅데이터·디스플레이·정보보안 등 4차 산업을 이끌어 갈 첨단산업 분야에서부터 천연염색·도예·전통장 등 전통산업에 이르기까지 37개 분야 97개의 직종을 아우르는 대한민국 최고의 장인을 선정해 왔다.

올해로 34년째인 대한민국 명장제도는 매년 20명 안팎의 인원만 뽑다 보니 지금까지 선정된 명장이 644명에 불과하다.

경북·대구의 경우 모두 90명(경북 44명·대구 46명)만 선정됐으며, 이들 중 작고한 사람들도 적지 않아 현재 생존해 있거나 현직에 있는 명장은 손으로 꼽을 수 있을 정도다.

하지만 경북·대구 지역 어디에도 이들이 평생을 바쳐 산업발전이나 전통기능 전승을 위해 노력해 온 바에 대한 업적을 기리는 곳은 어디에도 없다.

반면 인천광역시의 경우 지난 2016년 노사민정협의회에서 ‘대한민국 명장을 비롯한 기술장인들을 업적을 기리고, 이들의 노하우를 후배들에게 전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으면 좋겠다’는 건의에 대해 즉시 화답했다.
인천광역시가 지난 2016년 노사민정협의회의 건의에 따라 지하철 인천시청 중앙홀에 설치한 ‘인천광역시 명장의 전당’모습. 사진제공 인천광역시.
인천시는 같은 해 지하철 인천시청 환승역 중앙홀에 ‘인천광역시 명장의 전당’을 설치하고, 인천 지역 대한민국 명장 22명의 흉상을 담은 부조를 제작해 벽면에 새겼다. 또 인천시 자체적으로 매년 기술장인을 뽑기 위해 ‘미추홀 명장 선정 조례’를 만들어 2017년부터 매년 10명 안팎의 신청을 받아 2년간 6명을 선정하는 한편 올해도 선정작업을 진행 중이다.

시는 이들 명장에게 증서전달과 함께 매년 100만원씩 5년간 500만원의 지원금을 전달하는 한편 지역 내 특성화 고교 등에서 자신의 노하우를 전달할 수 있는 특강기회도 마련해 주는 등 기술 장인들이 자부심을 갖고 천직에 전념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다.
울산광역시가 지난 2011년 시립 울산박물관을 개관하면서 박물관내 벽면에 설치한 ‘명장의 전당’. 박물관을 찾은 한 관람객이 대한민국 명장들을 살펴보고 있다. 이종욱기자 ljw714@kyongbuk.com
울산광역시 역시 지난 2011년 울산시립박물관을 건립하면서 박물관 벽면 한쪽을 ‘울산 명장의 전당’을 설치하고, ‘대한민국 명장의 전당’‘한국 품질 명장(지식경제부 선정)’‘명예의 전당(울산시민대상 수상자)’‘명예의 전당(박물관 문화재 기증자)’이름을 새겨 놓았다.

이들 외에도 경남과 충북 등에서도 자체적으로 지역 명장들을 선발하는 등 산업발전과 전통계승에 기여한 사람들이 자부심을 갖고 활동할 수 있는 길을 만들어 놓았다.

하지만 대구·경북은 이들의 존재 자체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 산업의 메카인 포항시의 경우 16명(추정 포함)의 대한민국 명장, 구미시(칠곡 포함)의 경우 8명의 대한민국 명장이 선정돼 있고, 포항의 경우 확인된 현직 명장만 5명에 이르지만 누구도 그들을 돌아보지 않고 있다.

따라서 대구시와 경북도가 포항·구미시 등 산업도시를 중심으로 이들 명장을 기릴 수 있는 기념사업을 마련해 기능·기술인들의 자긍심을 함양은 물론 이들이 평생을 쌓아온 노하우를 전승시켜 산업발전 토대로 삼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 대한민국 명장은 “정부가 대한민국 명장을 선정하는 게 단순히 기술능력을 인정만 하는 게 아니라 산업현장에서 더 큰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인 만큼 지역에서도 명장들에게 자부심을 심어주고, 노하우를 전수할 기회를 제공해 준다면 그 의미가 더 클 것”이라고 말했다.

또 지역 기업체 관계자들은 “현재 대한민국 명장은 제도는 선정에만 그칠 뿐 그들이 평생을 바쳐온 업적들은 다소 간과되는 부분이 있다”며 “독일·일본 등 선진산업국가들에서는 명장들을 어떻게 대우하고 활용하고 있는지 벤치마킹한 뒤 이들이 기능·기술인으로서 자긍심을 갖도록 해 줬으면 한다”고 제안했다.

한편 포스코는 자체적으로 ‘포스코 명장’제도를 도입해 명예와 지원금을 지급하는 등 현장기능(기술)인으로서 최고의 명예와 자부심을 심어주고 있다.

이종욱 기자
이종욱 기자 ljw714@kyongbuk.com

정치, 경제, 스포츠 데스크 입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