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불통의 사례는 역사에 기록될만하다. 강정고령보에 놓여 있는 우륵교가 그 불통의 상징이다. 지난 2013년 4대강 사업의 하나로 건설된 810m의 이 다리는 낙동강을 가로질러 놓여 있다. 다리를 건설한다는 것은 한 지역과 다른 지역을 연결해 왕래를 하기 위해서다. 그런데 이런 저런 이유로 7년이 넘게 개통되지 못하고 있다.

급기야 국민권익위원회(권익위)가 나서서 관계 기관에 우륵교 차량통행에 대한 시범개통 의사를 묻기에 이르렀다. 지난 10일 경북과 대구를 비롯한 고령·달성군, 부산국토관리청, 한국수자원공사 등을 대상으로 18일까지 답변을 요청했다고 한다. 권익위가 고령군과 달성군 등의 의견 수렴이 되지 않아 통행이 되지 않고 있는 우륵교의 차량통행 시범 개통을 추진하고 모니터링을 통해 지역 갈등을 풀겠다고 나선 것이다. 이는 부끄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지역의 행정력이나 정치력이 이것 밖에 되지 않았나 하는 것을 되돌아 봐야 한다. 길이 열리면 경제가 돌고, 문화가 꽃핀다는 것은 인류 역사의 기본 상식 가운데 하나인데 길을 내어 놓고도 수년이 지나도록 통행을 하지 않는다는 것은 객관적으로 이해되지 않는 기이한 일이다.

고령군은 차량 통행 허용을 요구하고 있는데 반해 달성군이 반대하고 있다고 한다. 달성군이 지역의 상권 위축을 우려하고 있다는데 상권 위축 우려를 불식시킬 대안을 찾아야 한다. 접근성이 원활하게 접속도로의 개설 등을 적극 모색해 그야말로 경북과 대구가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다. 경북도와 대구시는 지속적으로 한뿌리 경제니, 상생 경제니 떠들어 왔으면서 이 같은 문제 하나 풀지 못한다는 것은 도와 시의 주장들이 허구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권익위가 나서기 전에 이미 해결했어야 한다는 말이다.

권익위에 따르면 차량 통행을 반대하는 달성군 용역 조사에서 연간 13억4500만 원의 순편익이 발생한다는 결과가 나왔다는 것이다. 지난 2013년 준공 후 7년 간 통행을 하지 않아 약 94억1500만 원의 경제손실이 발생한 것이나 마찬가지인 것이다. 단순히 지역의 순이익을 따질 문제도 아니다. 건설 당시 3250억 원이 투입된 것을 감안하면 엄청난 국가적 손실을 초래한 것이다.

강정고령보는 전국 16개 보 중 왕복 2차로 차량통행이 가능한 교량을 갖춘 5개보(낙동강 강정고령보, 영산강 승촌보, 금강 공주보, 낙동강 창녕·함안보, 합천·창녕보) 중 유일하게 차량통행이 되지 않고 있다. 막대한 국가예산을 투입하고도 기대효과와 지역 간 균형, 상생 발전을 저하 시키는 사례라고 지역주민들의 비난과 함께 적폐의 대상으로까지 지목받고 있다.

전국의 다른 지역에서는 어떻게 해서든 국가 예산을 따와서 없는 다리도 놓으려고 혈안이 돼 있는데 수천 억을 들여 놓아 놓은 다리를 이용하지 않는 다는 것은 시대착오적 불통 사례다. 경북도와 대구시, 고령군과 달성군은 권익위의 권고대로 차량 통행을 할 수 있게 적극 협조해야 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