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한·메콩 정상회의 성공 개최 위한 ‘붐업’
아세안 국가, 대부분 남북한과 동시 수교…한반도 평화 지지 당부
한일 정상 대면 시 관계 개선 모멘텀 마련 계기 마련될 수도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6월 28일 오전 인텍스 오사카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 공식환영식에서 의장국인 일본 아베 신조 총리와 악수하고 있다. 연합
문재인 대통령이 3일 아세안+3 정상회의 및 동아시아정상회의(EAS) 참석을 위해 태국으로 떠난다.

문 대통령의 태국 방문은 지난 9월 공식방문에 이어 두 달 만이다.

2박 3일간의 방문에서 문 대통령이 가장 공을 들이는 대목은 25일부터 부산에서 열리는 ‘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와 ‘제1차 한-메콩 정상회의’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관심과 협조를 끌어내는 것이다.

문 대통령은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와 한-메콩 정상회의를 신남방정책을 한 단계 더 도약시킬 계기로 삼고자 한다.

신남방정책은 4강 중심의 외교 틀을 다변화해 세계 경제회복의 엔진이자 블루오션인 인도·아세안과 전면적 협력 시대를 열어가겠다는 의지를 담은 정부의 핵심 외교정책이다.

이번을 포함해 취임 후 총 7차례에 걸쳐 인도·아세아 지역 순방에 나선 것은 문 대통령이 그만큼 신남방정책을 얼마나 중요하게 여기는지 보여준다.

이 때문에 이번 태국 방문은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와 한-메콩 정상회의의 성공을 위한 ‘붐업’ 성격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이 못지않게 문 대통령과 청와대가 기대하는 성과 중 하나는 교착 상태에 있는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등을 풀어내기 위한 반전 모멘텀의 마련이다.

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지난달 28일 태국 방문 관련 브리핑에서 “문 대통령은 동아시아정상회의에서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정착의 진전을 위한 우리 정부의 외교적 노력을 설명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그러면서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의 진전을 위한 지지도 당부할 예정”이라고 언급했다.

이는 그만큼 북미 간 비핵화 대화 등이 생각만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판단이 작용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외교가에서는 ‘하노이 노딜’ 후 7개월여만에 지난달 초 스톡홀름에서 열린 비핵화 실무협상에서 북미가 구체적 해법을 둘러싼 간극을 좁히지 못한 것 등을 두고 문 대통령의 ‘촉진역’이 기로에 섰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상당수가 남·북한 모두와 수교 관계를 맺고 있는 아세안 지역 국가로부터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의 진전을 위한 협력을 약속받는다면 이는 문 대통령의 짐을 한결 가볍게 해줄 수 있을 전망이다.

이와 함께 눈여겨봐야 할 또 다른 대목은 같은 기간에 태국을 방문하는 문 대통령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의 만남 여부다.

대법원의 강제징용 판결과 일본의 수출규제 및 한일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종료 결정 등으로 한일 관계가 냉각된 상태에서 두 정상이 만날지는 주목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다.

다자회의 석상에서 각국 정상이 한자리에 모이는 만큼 짧은 시간 조우가 가능할 수도 있을 전망이다.

그러나 최근 일왕 즉위식 계기에 이낙연 국무총리와 아베 총리 간 회담에서 양측의 입장차가 재확인된 것을 고려하면 한일 정상 간 정식 회담이 성사될 확률은 높지 않다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그러나 다음 달에 한중일 정상회의가 열릴 가능성이 거론되는 만큼 짧게나마 한일 정상의 대면이 이뤄진다면 관계 회복의 계기를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연합
연합 kb@kyongbuk.com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