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란 때 왜장 고니시 유기나가(小西行長)와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는 앙숙이었다. 고니시는 간첩을 통해 경상우병사 김응서에게 정보를 흘렸다. “가토가 바다를 건너 부산포로 오니 치라”는 내용이었다. 권율은 이를 조정에 보고하고 이순신이 지키고 있는 한산도통제영에 출병 명령을 내렸다.

한산대첩 이후 납작 엎드린 왜군과 조선 수병은 한산도를 중심으로 대치 중이었기 때문에 이순신은 군사를 함부로 움직일 수 없었다. 먼저 움직이는 쪽이 압도적으로 불리한 상황이었다. 이순신 장군이 함대를 이끌고 부산포로 진격했다가는 역습을 당할 위험이 컸다. 결과적으로 가토를 놓쳤지만 조정에서는 어쩔 수 없는 상황이었다고 이해했다. 그러나 이순신에 대한 우호적인 분위기는 곧 깨졌다.

“저라면 가토를 잡을 수 있었을 것입니다”라는 원균이 올린 장계가 화근이었다. 선조는 하늘이 준 기회를 놓친 것은 자신을 능멸한 행위라며 펄펄 뛰었다. 사헌부의 탄핵이 이어지고 이순신은 삼도수군통제사에서 파직돼 도성으로 압송됐다. 그리고 삼도수군통제사 자리에 원균을 앉혔다.

자기라면 왜군을 몰아낼 수 있다고 큰소리 친 원균에게 권율은 부산포로 진군하라고 압박했다. 겁먹은 원균이 처음에는 못 가겠다고 버텼지만 곤장까지 맞고는 할 수 없이 부산포로 진출했다. 그것은 조선 수군 최대 비극인 ‘칠천량해전’의 시작이었다. 칠천량해전에서 조선 수군은 전력면에서 왜군보다 압도적 우위에 있으면서도 상식 이하의 판단으로 제대로 싸워보지도 못하고 대패, 원균도 전사하고 말았다.

“한산을 고수해 호랑이와 표범이 버티고 있는 듯한 형세를 만들었어야 했는데 출병을 독촉해 이 같은 패배를 초래했다. 이는 사람이 한 일이 아니고 하늘이 그렇게 만든 것이다.” 선조의 탄식이다. 이순신을 파직시키고 원균을 기용해 일어난 대 재앙의 책임이 자신에게 있는데도 자기 탓은 빼고 하늘에다 그 책임을 돌린 선조의 책임회피는 통치자로서의 책무를 팽개친 것이나 다름없다.

자신이 강행한 법무부 장관 임명에 의해 발생한 ‘조국사태’로 국론이 두 동강 난 책임을 국민과 언론에 돌리는 대통령의 처신이 임란 당시 선조의 행동을 떠올리게 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