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과 대구의 ‘통합’이 새해 화두가 되고 있다. 경북과 대구의 경제 통합을 넘어 행정통합까지 이뤄내자는 주장이 힘을 받고 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와 권영진 대구시장이 이례적으로 포항 호미곶에서 통합을 다짐하며 함께 손잡고 해맞이를 했다.

지난해 이 지사는 한 정책토론회에서 “경북과 대구가 과거처럼 대한민국을 이끌기 위해서는 반드시 통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같은 주장의 배경은 대구가 전국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서울과 부산에 이어 세 번째의 중추적인 도시로 자리 잡고 있었지만 최근 들어서는 경기도는 물론, 인천보다도 그 위상이 추락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경북도 또한 ‘웅도’라지만 변방으로 치부되고 있다.

이런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규모의 경제’를 이뤄야 한다. 경북은 30년 간 대구의 품 안에 도청이 자리 잡고 있다가 지난 2016년 3월 안동시 도청대로 455로 청사를 이전해 아직 제대로 신도시를 형성하지 못하고 있다.

경북의 북쪽으로 도청사가 치우쳐 이전하는 바람에 경북 동남권의 행정업무를 수행하는 지청 격인 경북도환동해지역본부가 포항에 자리 잡고 있다. 대구시도 숱한 논란 끝에 공론화를 통해 신청사를 대구의 서남권인 달서구 두류정수장터에 짓기로 결정했다.

이렇게 행정통합의 중요한 물리적 요소인 도청과 시청의 위치가 이제 막 자리 옮겼거나 자리를 옮겨 갈 계획이어서 통합 논의는 큰 논란을 빚을 소지를 안고 있다. 경북과 대구가 살아남기 위해 문화, 교육 중심 대구와 생산 중심의 경북이 하나가 되는 행정통합이 절실하다. 하지만 법적, 행정적 통합 절차를 밟기 이전에 지금부터 부지런히 경북 도민과 대구 시민의 동의를 얻어내는 작업을 해야 한다.

지역민들은 그간 경북과 대구가 경제와 문화, 관광 분야의 교류를 통해 ‘경제 통합’을 추진해 온 것에 대한 이해는 갖고 있지만 ‘행정통합’까지 이루겠다는 데는 공론화가 필요하다. 이 도지사는 “권영진 대구시장과 함께 단체장 자리를 던질 준비가 돼 있다”면서 오는 2022년 단체장 선거부터 통합 단체장을 뽑아야 한다는 뜻을 피력한 바 있다. 하지만 행정통합 관련 국회에서의 법제화와 통합 방식 등에 대해 먼저 깊이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 다음 지방선거까지 행정통합을 이루려면 연 내에 통합논의를 마무리해야 하는데 물리적으로 가능할 지 의문이다.

또 일부 언론을 통해 경북도청이 옮겨 간 안동과 예천을 합쳐서 ‘경북도청자치시’로 하자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렇게 될 경우 포항과 경주를 중심으로 한 ‘광역행정시’도 거론될 것이다. 이처럼 행정구역 통합은 단순한 문제가 아니다. 경북도와 대구시, 일선 시·군·구와 지역민의 민의를 수렴하는 절차가 선행돼야 한다. 단체장의 의지만으로는 될 수 없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