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친환경 자동차’로 꼽히는 전기차가 아직 크게 주목을 받지 못하는 것은, 배터리의 용량이 아직 장거리를 달리기엔 부족하고, 충전속도가 늦기 때문이다.


실리콘은 배터리의 용량과 충전 속도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전기 전도도가 낮고, 충·방전 시 부피가 3배 이상 팽창해 물질 간 연결이 잘 깨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가교를 위해서는 100℃ 이상 고온의 열처리가 필요했다.
공동연구팀은 실리콘 전극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이고 동시에 이온 전도도 향상을 위해 천연 고분자와 결합가능한 붕산(boronicacid)과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oxide)기반의 다기능성 가교제 개발에 성공했다.
이번에 개발된 가교제는 전체 전극의 1% 중량만으로 천연 고분자와의 가교를 통해 실리콘 전극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수명을 4배 이상 늘릴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온에서 가교할 수 있어 고온 열처리를 필요로 하는 제조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 이 물질은 추가로 가교 촉매제를 넣어주지 않아도 충·방전 시 팽창으로 인해 끊어진 연결을 다시 이어주는 자가 치유기능이 있어 강한 접착력을 가지는 것을 확인했다.
논문 1저자인 포스텍 류재건 박사는 “새롭게 개발된 다기능성 가교제를 활용하면 전체 전극의 약 1% 첨가만으로, 실리콘 전극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기존의 고성능 고분자 바인더에서 쓰이는 복잡한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박수진 교수는 “가교제와 결합된 천연 고분자 바인더는 자가 치유능력, 강한 결합력, 빠른 리튬 이온 전달 특성이 있어 두꺼운 실리콘 전극 제조에도 안정적으로 적용이 됐다”며 “고속충전이 가능한 고용량 이차전지를 필요로 하는 전기 자동차 산업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됐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 굿데이 굿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곽성일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