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가 지난 7일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신속 검사 의료기관 38곳을 발표했다. 서울 18곳, 경기 8곳을 비롯해 지역의 거점이 될만한 곳에 최소 한 두 곳의 병원이 지정돼 있었다. 강원과 제주에 각 두 곳의 병원이 지정돼 있었고, 전남·광주, 전북, 충남, 충북, 경남에 각 한 곳의 병원이 지정돼 있었다. 하지만 500만 명이 넘는 인구가 밀집돼 있는 경북과 대구 지역에는 눈을 닦고 봐도 지정병원을 찾을 수 없었다.

신종코로나 확산에 질병관리본부가 아무리 정신이 없기로서니 이래서야 되겠는가.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에 지정 병원 38곳 중 27곳이 몰려 있다. 신종코로나 감염증 대응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적극적인 대응을 해야 하는데 지방은 안중에 없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경북과 대구에서 신속검사 의료기관 신청이 없었다”고 했다. 신청이 없다고 전혀 지역 안배도 없이 마구잡이식으로 지정하는 것은 무책임한 일이다.

지역에서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으로 지정돼 있는 경북대병원과 대구의료원조차 검사기관 신청을 하지 않은 것은 지역민들의 신종코로나 감염증 불안감을 키우는 것일 뿐 아니라 유사시 대응에도 큰 차질이 빚어 질 것이 뻔하다. 경북도와 대구시는 비상대책반을 구성하는 등 특별대응하겠다 했지만 이런 실책이 나오고 있다.

특히 대구에는 17번 확진자가 다녀간 것으로 확인돼 시민의 불안감이 고조돼 있다. 대구는 우수한 의료 인프라로 ‘메디시티’라 떠들지 않았나. 7일부터 신종코로나 신속검사가 이뤄진다는 소식이 온 언론에 전해졌는데도 경북도나 대구시는 지역 병원의 참여를 권고하거나 독려하지 않고 수수방관했다. 대학병원들도 책임감 없기는 마찬가지다. 경북대병원이나 대구의료원 등은 적극적인 신청을 했어야 한다는 것이 시민들의 반응이다.

질병관리본부가 지난 7일부터 하루 3000명 분의 진단검사 키트를 공급하고 있다고 한다. 진단검사 대상은 중국에 다녀온 뒤 발열 호흡기 증상이 있는 사람, 의사가 신종코로나 의심 환자로 분류한 사람으로 검사비는 전액 국가가 부담하는 것으로 돼 있다.

9일 현재 국내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으로 확진된 환자가 27명, 이들의 접촉자는 1698명이다. 접촉자 중 1163명이 격리돼 있다. 접촉자 중에서 확진된 환자가 9명이나 되는 등 지역사회 감염이 걱정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나 질병관리본부는 물론 경북도, 대구시 등 자치단체들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지역사회 감염 차단에 힘써야 한다. 신종코로나 신속검사 기관 지정에서 드러난 실책과 같은 일이 두 번 다시 일어나지 않게 해야 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