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읍성 발굴조사 중 동벽 치성에서 통일신라시대 팔부중상 부조가 발견됐다. 사진은 치성 기단석 세부 및 팔부중상 모습. 경주시
경주읍성 성벽에 대한 학술발굴조사 중 통일신라시대 팔부중상 부조가 발견됐다.

경주시는 한국문화재재단과 추진 중인 경주읍성 복원정비 사업부지내 유적 발굴조사 중 조선시대에 축조된 성벽에서 통일신라시대 석탑에 사용된 팔부중상 면석 3매가 기단석으로 재사용됐음을 확인했다고 21일 밝혔다.

팔부중은 부처의 설법 청중을 구성하는 다양한 무리 중 하나로, 인간 이외의 다양한 존재를 일컫는 집합적 용어다.

팔부중상 면석은 다른 나라 탑에서는 유례를 찾을 수 없고 통일신라시대 석탑에서 창안된 독특한 부조상이다.

‘팔부중상’ 이 부조된 탑재 3매는 경주읍성의 동문(향일문) 및 성벽의 북쪽구간인 북벽으로 연결되는 제5구간의 체성 벽에 덧대어 있는 치성의 가장 아래인 기단석으로 사용됐다.

5구간에서 치성은 현재 1개소만 확인됐는데, 최근까지 주택이 있었던 자리로 기초석과 기단석 정도만 남아있다.

팔부중상이 부조된 면석 3매는 치성 기단의 북쪽과 동쪽 모서리를 연결하며 놓여 있으며, 기단석에는 팔부중상의 면석 이외에도 탑 부재들과 건물터의 주초석 등이 사용됐다.

현재 기초석의 침하로 팔부중상 면석들은 한쪽으로 약간 기울어진 상태이다.

팔부중상의 부조 면이 위로 보며 놓여 있기 때문에 치성이 축조됐을 당시에는 그 위로 많은 석재들이 올려져 있어 성벽 외부로 상이 아예 보이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치성을 올리기 위한 기초석의 범위는 동서 길이 11m, 남북 너비 11m이며, 치성 기단석의 범위는 길이 10m, 너비 8m 이다.

‘팔부중상’ 면석 3매에는 각 1매에 1쌍의 팔부중상이 부조돼 있다.

이번에 출토된 팔부중상은 탑의 서탑의 서쪽(천·가루라)에 사용되는 면을 제외한 북쪽(긴나라·마후라가)·남쪽(아수라·건달바)·동쪽(야차·용)에 사용하는 3면의 면석이 발견됐다.

이 가운데 북쪽면은 길이 148cm·너비 75cm, 남쪽면은 길이 184cm·너비 75cm, 동쪽면은 길이 166cm·너비 75cm다.

현재까지 경주지역에서 확인되고 있는 팔부중상이 부조된 석탑 및 탑재 중에서 동일한 도상으로 볼 수 있는 것은 아직 확인되지 않는다.

그러나 조각 전체가 8세기대의 조각양상에 비해서 정교하지 못한 편이고, 천의 자락 날림이 부자연스럽고 손 모양도 변형된 점 등으로 미뤄 9세기 중반께 만들어진 것으로 관련 전공자들은 추정하고 있다.

경주지역에서 팔부중상이 부조된 석탑 및 탑재는 담엄사지 석탑재, 창림사지 석탑, 남산리사지 서탑, 숭복사지 동·서탑, 인왕동사지(전 인용사지) 동서탑재, 사제사지 탑재 등이 있다.

사전 게96호인 경주읍성의 치성은 발굴조사를 통해서 체성과는 별도로 축조된 것으로 확인되며, 문헌기록을 통해서도 조선시대 세종(1418~1450년)연간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된다.
경주읍성 발굴조사 중 동벽 치성에서 통일신라시대 팔부중상 부조가 발견됐다. 사진은 치성 기단석 전경. 경주시
팔부중상 북쪽면 (긴나라, 마루라가) 모습. 경주시
팔부중상 남쪽면(아수라, 건달비) 모습. 경주시
팔부중상 동쪽면(야차, 용) 모습. 경주시
황기환 기자
황기환 기자 hgeeh@kyongbuk.com

동남부권 본부장, 경주 담당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