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9일부터 순차적 개학 추진…경험 부족한 학교 현장 '혼란'
저소득층·다자녀 가정 기기 부족 문제 등 학습 결손·도농 격차 우려도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31일 오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초·중·고교 개학 방안 및 대학수학능력시험시행 기본계획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

정부가 사실상 ‘온라인 개학’을 결정했지만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3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 모두발언에서 “온라인 형태 개학을 유력하게 고려하고 있다”며 “4월 9일부터 순차적으로 개학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발표했다.

코로나19로 원래 3월 2일인 개학일을 3월 9일, 3월 23일, 4월 6일에서 4월 9일로 네 차례 연기했다.

이번 발표에 학교 현장에서는 “원격수업을 준비할 시간을 사흘 더 벌었다”며 일단은 안도의 한숨을 내쉬는 분위기지만, 일선 학교 현장의 원격수업(온라인 수업) 준비가 충분하지 않다는 우려다.

우리나라는 정보통신(IT) 강국답지 않게 초·중·고교 현장에서 원격수업을 진행해본 경험은 거의 전무하다.

한국교육개발원이 2018년 발간한 ‘중등교육 온라인 개방형 교육체제 구축 방안’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중·고교생 중 원격수업을 들어본 경험이 있는 학생은 0.3% 안팎에 불과하다.

2018년 기준 중학생의 0.26%(133만4288명 중 3494명), 고등학생의 0.35%(153만8576명 중 5449명) 정도만 원격수업을 들은 경험이 있다.

학교 수 기준으로도 2018년에 원격수업이 있었던 학교가 중학교 18.9%(3214곳 중 610곳), 고등학교 29.5%(2358곳 중 696곳)에 그쳐 사실상 원격수업이 교육부·교육청의 ‘시범 사업’ 차원에서만 이뤄지다 보니 극히 일부의 교사·학생만 원격수업을 경험해본 것이다.

그것도 그동안의 원격수업은 법정 수업시수로 인정되지 않아 학생 자율로 듣는 교양·심화 수업으로만 열려 시범학교들조차 실제 정규 수업을 원격수업으로 해본 경험은 없다.

교육부는 코로나19 확산세가 지속해 온라인 수업이 불가피해지고 나서야 원격수업을 정규 수업으로 인정하기로 했다.

지난주 ‘원격수업 운영 기준안’을 마련해 배포했지만, 운영 기준조차 처음 만들어진 상황이다 보니, 일선 학교 현장은 기본적인 인프라조차 못 갖춘 상황이다.

교육개발원이 2015년 ‘학교급별 교육정보화 인프라 현황’을 분석해 보니, 학교에서 구매한 지 1년 이내인 최신 컴퓨터를 보유하고 있는 비율은 초등학교 13.5%, 중학교 11.8%, 고등학교 11.3%에 불과했다.

구매한 지 1∼5년 된 컴퓨터를 보유하고 있는 비율이 초·중·고교의 55∼60%에 달했고, 구매한 지 5년이 넘은 낡은 컴퓨터를 보유한 비율도 30% 안팍에 이르며, 집에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 온라인 수업을 들을 기기가 부족한 저소득 소외계층이나 다자녀 가정에 빠짐없는 기기 지원이 이뤄질지도 현재 미지수다.

교육부는 지난주에 “정확히 학생 몇 명이 기기가 없는지는 파악 중”이라면서 “교육청·학교에 12만여대가 비축돼 있고, 1차 조사에서 3000여대가 추가로 필요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도내 한 고등학교 교사는 “경북지역은 시골에 있는 학교들이 많아 인터넷 기반이나 기기도 부족 등 인프라가 열악하고, 가정환경 때문에 온라인 수업을 제대로 못 들을 학생이 많이 발생 할수 있다.”면서 “세밀한 지원책이 없으면 학습 결손과 도농 격차가 불가피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정형기 기자
정형기 기자 jeonghk@kyongbuk.com

경북교육청, 안동지역 대학·병원, 경북도 산하기관, 영양군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