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현품 제작…삼국 시대 기마문화 이해 '도움'

경주 쪽샘 C10호 말 갑옷 재현품
지난 2009년 경주 쪽샘 C10호 목곽묘 발굴조사 중에 발견돼 큰 주목을 받은 말 갑옷(마갑)을 대상으로 벌인 10년간의 연구 성과와 재현품이 제작돼, 고대 신라 기마문화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지난 2009년 경주 쪽샘 C10호 목곽묘 발굴조사에서 확인된 말 갑옷에 대한 10년의 집약된 연구 성과를 종합해 ‘경주 쪽샘지구 신라고분유적Ⅹ-C10호 목곽묘 출토 마주·마갑 조사연구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7일 밝혔다.
경주 쪽샘 C10호 마갑 노출 모습
2009년 경주 쪽샘 C10호 목곽묘 발굴조사 중에 발견된 말 갑옷은 도굴되지 않은 상태의 완전한 형태를 갖춘 채 출토돼 세간의 큰 주목을 받았다.

말 갑옷은 목곽 바닥에 서쪽에서 동쪽방향으로 목·가슴부분, 몸통부분(130cm×100cm), 엉덩이 부분 순의 완전한 형태로 정연하게 깔려있었다.

또한 재갈, 안장, 등자(발걸이) 등 관련 유물까지 함께 수습돼 신라의 기마문화를 온전히 이해하는 자료가 됐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2009년 발굴조사 당시 이례적으로 고고학 조사와 병행해 740매에 이르는 말 갑옷의 보호를 위한 응급 보존처리를 현장에서 동시에 진행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경주 쪽샘 C10호 출토 마주(말머리 가리개)
발굴조사가 완료된 이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약 10년에 걸쳐 말 갑옷에 대한 수습·보존·연구를 진행했고, 이번 보고서는 말 갑옷의 고고학적 출토 상황과 그 조사결과를 종합적으로 담은 기록과 노력의 집약체라고 할 수 있다.

도면과 사진, X-ray(엑스레이) 촬영 결과도 함께 수록했고, 각 부위에 대한 내용도 고고학 관점에서 상세하게 풀어냈다.

그리고 약 18개월이 소요된 말 갑옷 수습의 현장 분위기와 이송과정, 보존처리 과정에 대한 내용도 담았다.

보존과학 연구를 토대로 말 갑옷 표면에 붙어있는 견·마 등 직물의 종류를 파악했으며, 더불어 목질 흔적을 토대로 목곽에 사용된 목재가 소나무일 가능성도 확인했다.
경주 쪽샘 C10호 출토 마갑(보존처리 후)
삼국 시대 마갑에 대한 이처럼 상세한 종합보고는 국내에서 처음 이뤄졌다.

그리고 말 갑옷과 더불어 말 투구, 말갖춤 일체의 복원에 대한 내용도 함께 담았다.

복원을 위해 그 연결방법과 착장방식에 대해 분석했고, 함께 출토된 재갈, 안장, 등자 등 말 갖춤 일체를 종합해 검토했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이러한 종합연구 보고서를 바탕으로 실제 재현품도 제작했다.

사전 작업으로 말 갑옷 조각들과 같은 크기의 플라스틱 복제품을 먼저 제작해봤으며, 갑옷 크기에 맞는 ‘제주 한라마’를 정해 복제품을 실제로 말에 입혀본 후 그 활동성을 분석하는 작업도 거쳤다.

복원된 말 크기 자료를 바탕으로 제작한 말 모형도 갑옷 재현품 착장에 적극적으로 사용했다.

이 같은 결과를 반영해 최종적으로 제작한 이번 재현품은 말 투구·말 갑옷의 구조적 특징, 연결기법, 착장 상태를 구체적이고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자료로 활용키로 했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이번 보고서와 말 갑옷 재현품으로 올 상반기에 전시를 개최해 학계와 관련 연구자, 일반인들이 고대의 신라 기마문화를 직접 관람할 수 있게 할 계획이다.

황기환 기자
황기환 기자 hgeeh@kyongbuk.com

동남부권 본부장, 경주 담당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