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원을 뽑는 선거가 막을 내렸다. 이제 그 어느 때보다 절박한 먹고사는 문제에 총력을 쏟아야 한다. 특히 경북과 대구는 전국에서도 가장 혹독한 코로나19 홍역을 치르고 있어서 지역경제가 곤두박질 치고 있다. 내 이웃의 자영업은 곳곳에 폐업 위기에 놓여 있고, 음·식료업체를 비롯한 서비스업은 물론 수출입이 끊긴 제조업도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포스코를 비롯한 대기업도 감산을 해야 하는 처지에 놓여 있다.

대경연구원에 따르면 코로나19 여파로 5월까지 경북과 대구의 지역내총생산(GRDP) 감소액이 9조 원을 넘길 것이란 암울한 전망이다. 지난해 기준 경북의 GRDP는 103조 원 중 6조9000억 원이 줄었고, 대구는 56조 원이었는데 2조4000억 원이 줄 것으로 전망했다. 경북과 대구가 IMF 이후 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할 위기를 맞고 있다.

가장 큰 우려는 지역 경제를 떠받치는 제조업의 피해가 장기화할 것이란 전망이다. 코로나19의 팬데믹으로 세계 각국의 국경 봉쇄조치가 내려져 원자재 수급은 물론, 생산과 수출 길이 막혔기 때문이다. 특히 주요 수출국인 미국과 중국은 물론 유럽과 중동지역까지 수출이 막혀 사실상 경제 절벽에 놓여 있는 상황이다.

생활밀착형 소비는 코로나 사태가 진정되면 서서히 회복세로 돌아서겠지만 제조업은 주요 교역국인 중국을 비롯해 전 세계의 상황에 영향을 받는 만큼 회복 여부를 가늠하기 어렵다. 수출 부진은 투자와 고용 부진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당장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노동시장 동향을 보면 지난해 한해 동안 경제의 중추 세력인 30~40대 일자리가 21만5000개나 사라졌다. 이런 최악의 상황에 코로나19의 지역 확산으로 경북과 대구가 집중적인 피해를 입었다. 정부가 대구와 경북의 경산, 청도, 봉화를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했지만 지역 경제에 얼마나 도움이 될 지는 미지수다.

경북과 대구는 지금까지 한 번도 겪어보지 못한 미증유의 경제 난국에 봉착해 있다. 총선이 끝났다. 이제 새로운 면모를 갖춘 지역 정치권이 앞장서서 선거전에서 유권자들에게 호소한 것처럼 지역 발전을 위해 분골쇄신해야 한다. 자치단체와 경제단체들도 머리를 맞대 경북과 대구 경제의 새로운 활로를 모색해야 할 것이다.

총선 투표는 끝났지만 정치적 혼란은 어쩌면 이제부터 시작일 것이다. 정치적 혼란으로 자칫 경제 문제에 소홀히 대처할 가능성이 높다. 지금 코로나19 이후 세계 경제 불황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심각하다. 1997년 외환위기나 2008년 금융위기 때를 능가하는 혹독한 시련이 닥칠 것으로 경제 전문가들이 예측하고 있다. 이제 선거의 앙금을 털어내고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교육 등 우리 사회 모든 분야의 지도층은 물론 시민들이 합심해서 이 난국에 대처해야 한다. 이제 가장 먼저 먹고 사는 문제에 눈 돌려야 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