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코로나19 사태 개선되면 즉시 도입 예정

공유자전거 도입 대구시민 의견조사 결과 . 대구경북연구원.
2010년 대구의 자전거 수단 분담률은 2.5%로 전국 대도시 중 가장 높았고, 2016년 기록한 1.9%도 전국 1위 수준이다. 대구의 자전거도로 총연장도 1039㎞로 전국 7대 도시 중에서 가장 길다. 자전거 보관대도 도시철도 전체 역에 100%, 관공서와 공원, 교육시설 등 자전거 수요가 집중하는 곳에는 대부분 설치돼 있다. 이런 자전거 이용시설에 대한 시민 만족비율도 92.0%로 매우 높다.

그러나 대구시는 2009년 ‘공공자전거 시스템 도입 방안’ 연구를 통해 구체적인 실행계획까지 세웠지만, 안전문제와 투자 대비 효율성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제반 여건이 성숙할 때까지 사업 시행을 보류했다.

최근 들어서는 주변 환경의 급변으로 공유자전거를 도입하자는 주장이 대두하고 있다. 2016년 중국 북경에서 시작된 ‘공유자전거’는 사물인터넷(IoT) 기술과 자전거에 부착한 GPS를 통해 지정된 스테이션 없이 스마트폰의 전용 앱을 통해 자전거의 위치를 검색하고 자전거와 이용자 간의 인식을 통해 대여·반납이 가능한 방식이다. 대구시가 2018년 9월 15~17일 자전거를 이용하는 시민 500명에 대해 1대 1 면접조사를 벌였는데, 응답자의 76.8%가 공유자전거 도입이 필요하다고 했다.

공유자전거 도입에 따른 경제적 타당성도 높은 것으로 검토됐다. 대전시 ‘타슈’ 사례를 보면 공유자전거 도입에 따른 비용 대비 편익 비율(B/C)이 16.2로 나와 경제성이 매우 높았다. 대구에 도입해도 경제적 도입 타당성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최근 ‘대구시 민간 공유자전거 도입 타당성 검토’ 보고서를 발표한 정웅기 대구경북연구원 박사는 “대구시가 운영주체가 되기보다는 민간사업으로 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라면서 “민간 사업자의 경우에는 기업 이윤 창출을 위해 적극적으로 사업을 추진·운영하기 때문에 시민이 만족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대구시는 특별한 재정투입 없이 새로운 녹색 교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웅기 박사는 민간 전기 공유자전거 도입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제시했다. 전기 자전거 특성상 이용요금이 15분당 1130원(보험금 130원)으로 일반 공유자전거에 비해 상당히 비싸지만, 일반 대중교통 요금과 비슷한 수준인 데다 울산시 등 도입사례에서 전기 자전거를 요구하는 수요 계층이 상당히 존재하고 호응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 점을 고려하면 대구도 다양한 녹색 교통수단 서비스 확충이라는 관점에서 긍정적으로 도입을 판단할 수 있다고 정 박사는 강조했다.

윤정희 대구시 교통국장은 “제조 정비 등을 마치고 올해 6월 민간 공유자전거 도입을 완료하려 했으나 코로나19 사태로 중단한 상태”라면서 “상황이 개선되면 즉시 도입하겠다”고 말했다.

배준수 기자
배준수 기자 baepro@kyongbuk.com

법조, 건설 및 부동산, 의료, 유통 담당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