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증 환자 총 3025명 격리 치료…전염병 방역 세계적 모델로 주목

정세균 국무총리가 3월 2일 오전 생활치료센터로 지정된 대구 동구 신서동 교육부 중앙교육연수원을 방문해 생필품을 살펴보고 있다. 중앙교육연수원에는 코로나19 확진자 중 경증 환자 160명이 생활하며 치료를 받는다. 경북일보 DB.
512명의 코로나19 확진 환자가 대구에서 발생한 3월 2일. 병상 부족으로 집에서 대기하다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한 확진자가 숨지는 사례가 많아 공포 그 자체였다. 이날 권영진 대구시장은 “대통령의 긴급명령권을 발동해서라도 공공연수원, 대기업 연수원 등을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3000실 이상의 생활치료센터로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해달라”고 간곡하게 요청했다. 하루 3000건 이상의 코로나19 검사가 이뤄지고 있어서 확진자가 계속 늘 경우 생활치료센터도 미리 마련하지 못하면 또 다시 자가격리 확진자가 많아질 것을 우려해서다. 3월 2일부터 코로나19 대응 치료체계 개편으로 자가에서 격리돼 입원 대기 중인 환자들이 갑작스럽게 중증으로 악화해 사망하는 사례를 막기 위한 정부 조치가 나왔는데, 권 시장은 최대한 빠른 시간에 생활치료센터 공간 확보가 급선무라고 강조했다. 권 시장은 “방역대책은 시간과의 싸움인데, 가장 빠른 시간 내에 국가가 활용 가능한 시설과 인력, 물자를 총동원 할 수 있느냐에 달렸다”면서 “생활치료센터에 배치될 의료인력 확보를 위해 의료인에 대한 동원령을 내려 서라도 필요한 인력을 조기에 확보해달라”고 촉구했다.

31번 환자가 대구에서 첫 확진 판정을 받은 지 73일만인 오는 30일 대구시가 최초로 도입해 무증상 또는 경증 환자를 격리·치료해온 15곳의 생활치료센터가 운영을 끝맺는다. 코로나19 확진자가 지역 내 전담병원의 병상만으로도 수용될 만큼 통제 범위에 들어와서다. 생활치료센터는 대구가 코로나19를 조기에 안정화하는 밑바탕이 돼 ‘방역 한류’의 일등공신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많은 기록도 남겼다. 중수본에서 지정한 14곳과 경북에서 지정한 1곳 등 총 15곳의 센터가 60일간 운영됐고, 3025명의 경증 환자가 입소해 22957명이 퇴소했다. 완치율 97%다. 최대 입소 인원은 3월 15일 오전 기준 2638명이었고, 3월 8일에는 하루 최대인 520명이 입소했다. 코로나 정국 속에서 치러진 4·15총선에서는 센터 3곳에 마련된 사전투표소에서 확진자 66명과 의료진 및 지원인력 209명 등 총 275명이 투표에 참가하기도 했다. ‘드라이브 스루 선별진료소’, ‘비대면 환자 모니터링’ 등과 함께 ‘신의 한 수’였다. 하루 확진자가 수 백 명씩 쏟아지고 누적확진자 수도 가파르게 상승하며 6000여 명을 찍던 당시 해외처럼 사망자가 확진자에 비례해 기하급수적으로 늘지 않고 하루 평균 2명대가 유지될 수 있었던 것도 센터운영으로 인한 원활한 병상확보와 경증환자의 병세 악화를 막은 의료진 등 종사자들의 유기적인 지원체계가 결정적이었다는 것이 일반적인 시각이다. 더 이상의 ‘병상 밖 사망자’가 발생하지 않은 것도 이때부터다.

국내 의료진과 외신들도 이 부분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 최근 국제학술지인 대한의학회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강원대병원 신경외과 김충효 교수팀이 구미LG동락원의 입소 환자 309명을를 대상으로 센터 운영 효과를 분석한 결과 환자에 대한 능동적인 관찰, 엄격한 격리, 바이러스 검체 채취 시 낮은 교차 감염 가능성 등으로 의료진 감염 사례가 1건도 발생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중증 환자에게 의료자원을 효율적으로 분배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라는 것이 확인됐다. 일본의 대표적인 뉴스통신사인 교도통신도 한국의 생활치료센터를 자세히 소개하며 의료체계 붕괴를 막는데 큰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생활치료센터 확보는 정세균 국무총리가 17일간 대구에 상주하며 전국에 걸쳐 시설 확보를 위해 진두지휘한 결과 중앙과 지방이 얻어낸 ‘연대의 승리’”라며 “앞으로 지방자치의 발전이 국가발전의 원동력이고 촉매제 역할을 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배준수 기자
배준수 기자 baepro@kyongbuk.com

법조, 건설 및 부동산, 의료, 유통 담당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