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연휴가 끝나는 6일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방역체제를 ‘생활방역(생활속 거리두기)’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지난 1월 20일 코로나19 국내 확진자가 처음 나온 지 108일 째 되는 날부터 ‘생활방역’으로 전환하게 된 것이다.

정부의 이 같은 결정은 앞서 생활방역 전환 조건으로 제시했던 △하루 신규 환자 50명 이하 △감염 경로 불명 환자 비율 5% 이하 △방역망 내 통제 여부 등이 모두 충족 된 데 따른 자신감의 반영으로 풀이된다.

코로나19 국내 하루 신규 확진자 수가 3일까지 25일째 50명 이하로 보고되고 있고 3일 확진자수가 13명으로 다시 늘었지만 지역 발생은 3명에 불과해 통제가 가능한 수준이라는 판단에서 일 것이다.

이날 결정은 정부 중앙부처와 17개 시·도가 함께 내린 결론이다. 45일간 진행해 온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를 종료하게 된 것이다. 사회적 거리두기는 3월 22일부터 2주간 계획으로 시행했다. 이후 두 차례나 연장되면서 종료 시점이 4월 5일에서 4월 19일, 5월 5일로 연장됐다. 비로소 6일부터는 시민 자율을 기반으로 한 일생 생활과 방역이 조화를 이루는 생활방역 체제로 전환되게 됐다.

하지만 생활방역 전환이 곧 코로나19의 종식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다만 그간 극도로 위축됐던 경제, 사회 활동을 정상화 하고, 감염병이 재 유행하지 않게 생활 속 예방 보건 수칙을 지켜나가자는 선언이다.

대구와 경북에서 코로나19가 집중적으로 확산한 만큼 지역민이 느끼는 감회도 다른 지역에 비해 각별한 것이 사실이다. 수많은 어려움 속에서 이제 일상의 생활로 한 발짝 나아가게 된 것은 의료진과 공무원의 헌신, 성숙한 시민의식이 만들어 낸 하나의 기적이다. 세계인들이 우리의 코로나19 대응을 모범적 사례로 들고 있을 정도다.

생활방역 전환과 함께 추락하고 있는 경제 부문부터 철저히 분석하고 대응해서 세계인들이 본받을 또 한 번의 기적을 이뤄야 한다. 그간 사회적 거리두기로 경제의 어느 한 분야 생채기가 나지 않은 부분이 없지만 서민경제가 파탄 지경이다. 특히 음식점과 재래시장 등 소상공인들의 피해가 막심하다. 기업은 기업대로 죽느냐, 사느냐의 서바이벌 게임에 직면해 있다. 국민적 역량을 모아 경제 위기 극복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생활방역은 국민 개개인이 방역 주체다. 마스크 착용과 손씻기, 기침 예절 등의 위생수칙 준수는 기본이다. 몸에 이상이 있으면 3∼4일 정도 집에 머무는 생활습관을 실천해야 한다. 이 같은 생활 속 방역 수칙을 잘 지켜야 한다. 아직 코로나의 종식이 멀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