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공공부문 일자리 156만 개를 공급하겠다고 한다. 코로나19 고용충격 대책이다. 일자리 확충을 위해 3조7800억 원의 3차 추가경정예산도 반영키로 했다. 101만 개 일자리는 코로나19로 중단됐던 채용을 재개하는 방식으로 하고, 나머지 55만 개 일자리는 새롭게 창출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런 정부 정책에 대해 청년들이 “문송합니다”란 반응이다. “인문계의 90%가 논다”는 ‘인구론’이란 조어처럼 “문과라서 죄송합니다”라는 자조(自嘲)섞인 한탄이다. 정부가 발표한 일자리 정책 방향이 이과생 위주의 ‘디지털’을 주요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신규 공급 정부 일자리 55만 개 직접 일자리 중 절반 이상이 청년 일자리다. 코로나19로 청년 고용이 크게 위축됐다는 판단에서 내놓은 정부 조치다.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지난달 15~29세 청년 취업자가 1년 전보다 24만5000명 감소했다. 이는 지난 2009년 1월 이후 11년 만의 최대 감소폭이다.

정부가 제시한 청년 공공일자리는 정보기술(IT)·디지털 활용 분야에 집중돼 있다. 일부 청년층에게만 혜택이 가는 쏠림 현상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일자리 대부분이 △인공지능(AI) △응용프로그램(애플리케이션) 개발 △빅데이터 분석 △온라인 콘텐츠 기획·관리 △기업별 특화 IT직무 등이다.

사실 코로나19의 영향을 가장 적게 받은 분야가 IT 직종이다. 코로나 쇼크 이전부터도 그랬지만 자연계와 공과대에 비해 인문계의 일자리 수요가 적었다. 이런 상황에서 비대면 IT분야 공공일자리를 집중적으로 늘리는 것이 의미가 있느냐는 것이다. 정부가 제공하는 일자리마저 이과 계열 쏠림 현상을 빚어 취업시장에서의 문-이과 격차가 더욱 커지게 됐다. 또한 정부가 청년들에게 제공하는 일자리가 단순, 단기 아르바이트에 그친다는 지적이다. 55만 개 일자리의 대부분이 지속기간 최대 6개월에 그치기 때문이다.

정부는 “문송합니다”라는 자조의 목소리와 ‘단기 알바’ 재양산에 그칠 것이라는 청년 공공일자리 공급의 문제점을 해결한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다.
 

이동욱 논설실장 겸 제작총괄국장
이동욱 논설주간 donlee@kyongbuk.com

논설주간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