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은 경북·대구(TK)는 경기 침체 속에 물가가 하락하는 디플레이션 징후가 나타나고 있다. 주택과 토지 등 부동산을 비롯한 자산가격과 소비자물가가 동반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데다 실물경제도 장기 침체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 심각한 경제 위기 상황이다. 경북도와 대구시, 지역 시·군·구 등 자치단체가 발버둥을 치고 있지만 지방 자치단체의 노력만으로는 극복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경북의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0.4%로 16개 광역시도 가운데 가장 낮았다. 지난해 8~11월 4개월 내림세를 보인 경북 물가는 5개월 만에 재차 하락세로 전환했다. 대구도 지난달 소비자물가상슬률이 -0.3%였다. 대구 물가가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외환위기 직후인 1999년 8월(-0.1%) 후 처음이다. 또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경북과 대구의 주택매매가격지수가 하락하는 등 부동산 시세가 추락하고 있다. 경북은 지난달 0.09%, 대구는 0.12% 하락했다. 대구는 2017년 5월 이후 처음으로 뒷걸음쳤다. 이처럼 경북과 대구지역은 소비자물가와 자산 가격이 동시에 하락하는 디플레이션이 현실화 하고 있다.

코로나19 전국 확진자의 76%가 나온 경북과 대구는 주력산업까지 흔들리고 있다. 경북과 대구지역의 자동차 부품 업체들은 현대차와 기아차가 지난 3월 중순부터 미국과 인도, 멕시코 등 해외 공장과 일부 국내 라인을 멈춰 세우는 바람에 덩달아 공장 가동을 멈춰야 했다. 이들 지역 업체 대부분은 매출이 반 토막 나 일부 업체는 도산 위기에 처해있다.

대구도 코로나19의 집중 피해를 입어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됐지만 이렇다 할 경제 회생 방안을 찾지 못하고 있다. 대구염색산업단지 입주 기업들은 1997년 외환위기, 2008년 세계 금융위기 때보다 더 혹독한 시련을 겪고 있다. 일부 기업은 직원의 월급을 70%만 지급하고 있는 실정이다. 주력 산업 중 하나인 안경업계도 주문량이 줄어 대부분 조업을 중단한 상태다.

이 같은 지역의 경제난을 극복하기 위해 각 지자체가 뉴딜 사업이니, 일자리 만들기니 하지만 만만치 않은 것이 현실이다. 포항시는 경제 활성화를 위해 자금 순환, 디지털, 바이오산업 육성 등을 논의하는 포스트 코로나 전문가 자문회의를 열었지만 이렇다 할 대안을 찾지 못하고 있다. 안동시도 산·학·연·관 합동 일자리 발굴에 나서기로 했다. 경주시도 혁신과제와 실행과제를 정해 추진키로 했다.

정부합동감사가 내년으로 미뤄진 대구시도 고용 안정 특별지원 사업 등 경제 재건 대책에 총력을 쏟기로 했다. 지자체 마다 탈(脫) 코로나 경제 재건에 나서고 있지만 중구난방이란 인상을 지울 수 없다. 국가 경제도 마찬가지지만 지역 경제도 장기적으로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가장 핵심이다. 기업의 기를 살리고, 기업을 유치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인 이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