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구미에 있는 TV 생산라인 6개 가운데 2개를 인도네시아로 이전하겠다고 발표했다. 정부가 해외 공장을 국내로 돌아오게 하는 ‘리쇼어링(Reshoring)’ 지원책을 발표한 다음날 LG전자는 상반된 결정을 발표했다.

LG전자가 정부의 리쇼어링 지원 대책을 강구하기 전부터 해외 이전을 준비해 온 것이어서 충격적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정부의 리쇼어링 정책이 실효를 거두기 어렵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좋은 사례라 할 수 있다.

LG전자는 올해 안으로 올레드 TV·LCD TV·컴퓨터용 모니터 등을 조립·생산하는 구미사업장의 TV 생산라인 2개를 인도네시아로 이전할 계획이다. 구미사업장 TV·사이니지 생산라인은 4개 라인으로 축소하고 고도화된 생산 기술이 필요한 최상위 프리미엄 TV와 의료용 모니터를 생산할 예정이라고 한다.

LG전자는 생산라인의 해외 이전이 모회사(Mother Factory)격인 구미사업장을 시작으로 권역별 거점생산체계를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지만 구미지역의 경제활동 인구 감소 등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인건비 등 생산 단가를 낮추기 위해 임금이 저렴한 해외로 이전할 수 밖에 없는 현실이어서 구미사업장이 자칫 마더 팩토리이자 컨트롤 타워 기능을 상실하지 않을 지 우려스럽다.

리쇼어링은 올해 초 중국이 코로나19로 멈춰 서고 국경이 닫히면서 각국이 핵심 부품 공급에 차질을 빚은 것이 발단이다. 각국이 수출길이 막히자 내수 진작으로 눈을 돌리고 국내 일자리 창출이 시급한 과제가 됐기 때문이다.

코로나19 이전에는 ‘비용 절감’이란 기업의 논리가 우세했다면 코로나 팬데믹으로 ‘공급의 안전성’이 더 절실해졌고, 자국민의 건강과 안전, 핵심 산업과 일자리를 지킨다는 측면에선 리쇼어링이 더 좋은 산업정책이라는 인식 속에 정부가 유인책을 마련하기에 이르렀다. 미국과 영국·프랑스·독일·일본 등 선진국들이 제조업의 본국 회귀에 사활을 걸고 있다.

하지만 LG전자처럼 정부가 아무리 리쇼어링 당근책을 내놓는다 해도 국내 대기업들이 해외 이전을 막거나 공장을 철거해 한국으로 돌아오는 것은 공염불로 보인다. 오히려 이런 와중에 수도권 지자체와 수도권 지역 정치인들이 합세해서 수도권 공장총량제와 같은 규제부터 풀려고 하고 있다.

지방 산업단지들이 텅텅 비어 있고, 지방 자치단체들이 기업 유치를 부르짖고 있지만 오히려 있던 기업들까지 수도권이나 해외로 빠져 나가고 있다. 기업과 양질의 일자리가 수도권이나 해외로 빠져 나가고 있는 지방으로서는 정부의 국가 균형발전이나 지방분권 정책이 공허한 메아리로 들릴 뿐이다. LG전자 구미 생산라인의 해외 이전이 시사하는 바가 크다. 정부는 ‘리쇼어링’도 좋지만 국가 균형발전 차원에서 지방의 국가 산업단지 무상 공급 등 기업의 지방 이전, 리쇼어링 지방 U턴을 오히려 적극 유도해야 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