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 산이 마주 향하고 믿음이 없는 얼굴과 얼굴이 마주 향한
항시 어두움 속에서 꼭 한 번은 천둥 같은 화산이 일어날 것을
알면서 요런 자세로 꽃이 되어야 쓰는가.

저어 서로 응시하는 쌀쌀한 풍경. 아름다운 풍토는 이미 고
구려 같은 정신도 신라 같은 이야기도 없는가. 별들이 차지한
하늘은 끝끝내 하나인데…… 우리 무엇에 불안한 얼굴의 의미는
여기에 있었던가.

모든 유혈(流血)은 꿈같이 가고 지금도 나무 하나 안심하고
서 있지 못할 광장. 아직도 정맥은 끊어진 채 휴식인가 야위어
가는 이야기뿐인가.

언제 한 번은 불고야 말 독사의 혀같이 징그러운 바람이여.
너도 이미 아는 모진 겨우살이를 또 한 번 겪으라는가. 아무런
죄도 없이 피어난 꽃은 시방의 자리에서 얼마를 더 살아야 하
는가. 아름다운 길은 이뿐인가.

산과 산이 마주 향하고 믿음이 없는 얼굴과 얼굴이 마주 향한
항시 어두움 속에서 꼭 한 번은 천둥 같은 화산이 일어날 것을
알면서 요런 자세로 꽃이 되어야 쓰는가.


<감상> 1956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된 작품임에도 휴전선의 긴장은 여전히 흐르고 있다. 남북의 화해와 변화된 자세를 촉구하는 시인의 선구자적인 어조가 놀랍다. 민족의 불안과 절망을 해소하는 유일한 방법은 휴전선을 거둬내는 일이다. 통일을 이루기 위해서는 남북의 태도가 변화되어야 하고, 변함없는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남북이 서로 증오하고 대립하는 자세를 견지할 때, 이념의 울타리 안에서 이분법적 사고로 상대를 공격할 때 또 다른 비극이 탄생할 수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 온전히 하나가 될 때 정맥이 뚫리듯, 꽃의 경계가 사라지듯 무한한 가능성을 안고 민족이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시인 손창기)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