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로 인한 직간접적 피해 비용 산출 결과. 양경숙 의원실 제공
총 186명의 확진자가 발생했던 2015년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가 우리나라에 끼친 사회·경제적 피해액이 약 11조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7일 기준 1만1776명의 확진자가 확인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인한 피해 규모는 메르스와는 비교조차 할 수 없을 것이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7일 질병관리본부가 양경숙 의원(더불어민주당)에게 제출한 ‘신종 감염병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피해 비용 추계 및 신종 감염병 대응 사회투자의 영향 연구’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메르스로 인한 사회경제적 피해 비용은 10조8449억원이었다.

메르스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치료·의료 비용은 비교적 크지 않았다.

세부비용을 살펴보면 환자 치료비용과 환자 사망에 따른 소득손실 등을 포함한 질병 비용은 329억2200만원에 그쳤다.

메르스 치료 및 확진자 발생으로 인한 폐쇄 관리를 위해 의료기관 및 약국, 상점에 지급된 손실보상금이 1781억4100만원, 전국 17개 시도가 지급한 긴급생계비와 메르스 사망자 유족에게 지급한 장례비용은 각각 141억5500만원과 4억5100만원으로 집계됐다.

대부분의 피해는 메르스로 인한 파급효과에서 발생했다.

전체 산업의 생산유발 감소액은 2015년 6월부터 8월까지 3개월 만에 6조2220원으로 가장 큰 규모의 피해액이 발생했다.

산업별로 보면 음식점 및 숙박서비스업이 1조6030억원(25.8%)으로 가장 컸고, 문화 및 기타 서비스업 7760억원(12.5%), 운송서비스업 7520억원(12.1%), 도소매서비스업 6380억원(10.3%) 등의 순이었다.

메르스로 인한 부가가치유발 감소액도 같은 기간 동안 전체 산업에서 4조3972억원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감염병 발생은 고용시장에도 심각한 피해를 입혔다.

2015년 6월 한 달 동안 국내 전체 산업에서 4만7053개의 일자리가 창출되지 못했다. 기간을 8월까지 3개월로 확대하면 7만3586개의 일자리가 사라졌다.

보고서는 이번 코로나19 유행과 관련 “메르스가 경제에 미친 영향은 3개월 정도의 비교적 단기 충격이었다면 코로나19가 미치는 사회경제적 폐해는 현재로서는 가늠하기 어려울 정도로 심각한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7일 현재 코로나19 누적확진자는 1만1776명, 사망자는 273명이다. 국내에서 코로나19 검사를 받고 2주 동안 자가격리한 인원은 현재까지 100만명을 넘어섰다. 해외에서 들어온 인원까지 더하면 격리 인원은 더욱 늘어난다.

양경숙 의원은 “초유의 코로나19 사태를 통해 신종 감염병이 사회경제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얼마나 막대한지 경험했다”며 “신종 감염병 예방 및 대응 체계를 보다 철저하고 면밀하게 구축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