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정부가 전국에 권역별로 설립하기로 한 감염병전문병원 지정에 대구가톨릭대가 최종 탈락했다. 영남권역 감염병전문병원으로 양산부산대병원을 정부가 지정했다. 정치적 입김이 작용했다는 여론이 파다하다.

국내 코로나19 확진자가 대구와 경북을 중심으로 급격히 늘어날 때 대구와 경북 지역민들이 병상 부족을 호소하며 수도권의 병원에 도움을 요청했을 때 매정하게 거절을 당하는 등 엄청난 충격을 겪었다. 또한 일부 친여 인사들이 코로나19 사태를 ‘대구사태’니 ‘대구코로나’니 질시하는 듯한 발언으로 지역민의 가슴에 상처를 입히기도 했다.

무엇보다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지역민의 생명과 안전이 큰 위협당했다. 공포에 가까운 불안감으로 정신적, 육체적으로 봉쇄 아닌 봉쇄 상태를 경험했다. 그런데도 정부는 지역민들의 고통 감내와 어려움의 경험들을 무시한 채 지역에 감염병 전문병원 설립을 배제했다.

코로나19 국내 방역의 최전선에서 사투를 벌이며 쌓은 데이터베이스와 축적된 경험, 노하우를 완전히 무시한 결과다. 대구 지역민을 중심으로 한 감염병 전문병원 추가 지정 요구도 사실상 받아들여지기 어려운 상황이다.

그렇다면 대구와 경북은 별도의 의료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지역민의 생명과 안전이 위협 받고 있는데 정부 정책만 따라갈 수 없다. 스스로 자구책을 마련해야 한다. 대구와 경북 지역민들이 유사시 이용할 수 있는 감염병전문병원에 버금가는 의료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대구참여연대가 22일 지역에 감염병 전문병원 추가 지정이 안될 경우 ‘제2 대구의료원 설립’을 촉구하는 성명을 냈다. 이는 대구지역민을 위한 조치다. 경북과 대구의 경제 통합은 물론 행정통합까지 거론되고 있는 마당에 제2 대구의료원보다 한 발 더 나아가 대구·경북통합의요원 설립이 필요하다.

대구참여연대는 성명에서 “민간 병원은 영리에 민감하고, 국립대병원은 유사시에 위험을 감수하면서까지 환자를 수용하기 어렵다는 점, 인구 243만 도시에 공공병원 병상이 440여 개 뿐인 현실을 방영해 유사시 감염병 전문병원으로 운영될 수 있는 제2 대구의료원을 설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공공병원 병상 부족은 대구만의 문제가 아니다. 인구 300만 경북도 마찬가지다. 경북의 감염병 관련 전문 병원은 물론 의료 불균형이 심각한 수준이다. 경북에는 대구, 부산, 경남에 각각 5개, 4개, 2개가 있는 상급종합병원(20개 진료과목 이상)이 한 곳도 없다. 경북 또한 감염병 대응 전문 의료인프라 구축이 시급하다. 500만 경북·대구 지역민의 생명안전을 국가가 담보해 주지 못한다면 지역민이 스스로 자구책을 마련하는 수 밖에 없다. 경북도와 대구시가 힘을 합쳐 감염병 전문병원에 준하는 의료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