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연재해 대비·수질 개선 등 논의

한국수자원공사가 주최한 ‘경북도 수자원관리 토론회’에서 각계각층 전문가들이 수자원관리에 대한 견해를 공유하고 있다. 전재용 기자 jjy8820@kyongbuk.com
중국은 지난 6월 1일부터 7월 9일까지 하루 평균 강수량 369.9㎜ 기록하며 1961년 이후 역대 2번째로 큰 홍수를 겪었다. 이재민 약 3800만 명과 사망 141명이 발생했고, 집 2만8000채가 붕괴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추산된 피해액만 14조1000억 원이다.

일본도 지난 4일 규슈를 중심으로 시간당 100㎜ 이상, 사흘 동안 1000㎜ 이상의 집중 호우가 내리면서 사망자가 69명 발생하고 100개 이상 하천이 범람하는 물난리를 겪었다.

올해 중국과 일본 등 인접 국가뿐만 아니라 세계 곳곳에서 크고 작은 물 피해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수자원관리에 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앞서 경북도도 체계적인 하천관리와 홍수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지역 내 국가하천 모든 수문에 스마트 홍수관리시스템을 구축하는 계획을 세웠다.

수자원공사는 최근 물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현재 추진 중인 ‘지역 수자원관리계획’의 내실을 다지기 위해 23일 북구 대구엑스코에서 토론회를 열었다. 경북도와 산하 시·군 관계자, 학계 전문가, 관련 기업과 함께 의견을 공유하는 자리다.

수자원관리계획은 지역 내 수자원의 통합적인 개발·이용부터 하천환경의 개선, 홍수 예방이나 피해 최소화 등을 위해 10년 단위로 세우는 것으로, 수자원공사 낙동강유역본부는 ‘수자원의 조사ㆍ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수자원법)에 따라 진행 중인 ‘경상북도 지역수자원관리계획 수립(계획연도 2030년)’ 과업을 내년까지 완료해 지역 물 문제 해결을 위한 교두보를 마련할 계획이다.

충남도 수자원관리계획 수립에 참여했던 기업 ㈜유신의 최병만 부사장은 이날 토론회에서 상위계획과 연계한 치수계획을 수립하고, 지방하천 중심의 정책전환을 모색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그는 “중국, 일본뿐만 아니라 네팔, 미얀마, 인도, 방글라데시, 인도네시아 등 수많은 나라가 물 피해를 겪었고 영덕 등 경북지역 또한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태풍으로 심각한 물난리와 함께 크고 작은 재산피해가 발생했다”며 “지형학적, 사회적, 환경·경제적으로 취약한 부분과 홍수 발생확률, 피해 규모 등을 반영한 종합적인 지표가 수자원 장기종합계획에 포함돼야 한다”고 의견을 냈다.

또 “경북도가 2025년까지 스마트 홍수관리시스템을 국가하천 모든 수문에 적용하는 것처럼, 지방하천에도 스마트시스템을 적용해보는 방안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고 견해를 밝혔다.

수질에 대한 중요성도 강조됐다. 농업·생활용수 등 물을 실질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수질 개선이 우선이라는 이유다.

계명대학교 환경과학과 이태관 교수는 “물을 쓰는 목적성을 고려하면 너무 수량에만 매몰될 것이 아니라 수질을 살펴봐야 한다”며 “물관리 기본법 시행에 따라 관리 계획 등 재정적 부담도 있겠지만, 수질 관리를 통해 다른 지역 사회에 좋은 사례가 되도록 사명감을 가지고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환경부에서 낙동강 중류 계획을 세우거나 사업비가 투자될 때 지역 지자체가 모르는, 소통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문제가 있는데, 경북도와 산하 지자체가 계획에 대한 의견을 서로 공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수자원공사 낙동강유역본부는 2018년 수자원법 제정 이후 낙동강 유역 지자체를 상대로 수자원관리계획을 수립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토론회 의견을 반영해 계획을 수립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수자원공사 장재옥 낙동강유역본부장은 “앞으로도 경상북도, 산하 시·군 관계자, 전문가 등과 소통하고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해 지역수자원관리계획 수립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도록 맡은 역할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전재용 기자
전재용 기자 jjy8820@kyongbuk.com

경찰서, 군부대, 교통, 환경, 노동 및 시민단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