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60대 고용여건 불안정
소외·빈곤 등 사회문제 촉발 우려
지역 맞춤형 일자리 생산 시급

2019년 대구지역 중장년층 고용 현황.

대구지역에서 사회·경제적 중추역할을 맡고 있는 40~60대 중장년층의 고용여건이 매우 불안정해서 맞춤형 일자리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대구경북연구원 박은희 박사는 11일 대경 CEO 브리핑 제621호를 통해 ‘지역 맞춤형 중장년 일자리정책이 필요하다’라는 주제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박은희 박사는 “40~64세의 중장년인구가 계속 늘어난 데다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높지만, 빠른 퇴직과 노후준비 미흡 등으로 안정된 경제적 지위를 유지하지 못하고 있다”며 “중장년층의 불안정한 일자리는 사회적 소외와 노인빈곤 문제로 이어져 복합적인 사회문제를 촉발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지난해 기준 대구지역의 전체 취업자 중 중장년 취업자 비중이 2011년 56.0%에서 지난해 59.5%까지 꾸준히 늘고 있지만, 중장년 취업자 수는 전년 대비 1만6000명이나 줄었다. 중장년 고용률도 73.1%로 전년 대비 1.6%p 하락했다.

중장년층 취업자 중 임금근로자 비중이 74.8%로 8개 대도시 중 가장 낮고, 일자리 근속 기간도 1년 미만이 33.3%로 짧은 편이다. 중장년층은 주된 일자리에서 조기 퇴직 후 임시·일용, 단순노무직과 같은 재취업 일자리에 장기간 종사하는 등 고용여건이 불안정한 상태에 놓여있다.

지난 6월 실시한 대구시 중장년 욕구조사 결과를 보면 사정은 심각하다. 퇴직 혹은 실직 사유를 보면 회사 구조조정이 71.3%로 비자발적 실직이 다수를 차지했다. 특히 올해 상반기에는 코로나19 사태와 연관성(67.4%)도 높게 나타났다. 중장년층의 1/5 이상이 퇴직 후 재취업 경험이 있으며, 재취업 시 종전 직장보다 임금수준을 낮춰 입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의 중장년층은 재취업 때 일자리 안정성을 가장 우선 고려하고 있으며, 취업형태는 전일제 정규직, 직종은 서비스·판매직과 단순기술·조립 및 노무직 등을 꼽아 전문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는 직종과 업종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희망 보수는 200~300만 원이 가장 많고, 3명 중 1명이 월 200만 원 미만이라도 괜찮다고 답했다.

박은희 박사는 중장년 일자리 지원을 위한 정책과제로 중장년층의 경험과 신기술 교육을 접목한 새로운 일자리 창출과 창직 활성화를 비롯해 중장년층의 재취업, 전직지원, 맞춤형 교육 등 통합 일자리 지원 플랫폼 구축을 제안했다.

또 지역의 전직지원 사례 발굴 및 프로그램을 구축해 전직지원제도를 활성화하고, 지역 내 업종별, 특성별 전직지원 강화 및 전직 준비기반 마련 지원 등 중장년 전직지원서비스를 강화해야 한다고도 했다. 이를 위해 대구시 중장년일자리지원 조례를 제정할 필요가 있다고 박은희 박사는 지적했다. 이 밖에도 일자리 유관 기관 간 협력체계를 강화도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박은희 박사는 “고용구조 측면에서는 중장년층이 소비형·전통형 서비스업과 저부가가치형 업종에 취업하거나 임시직 종사, 임금수준의 하락 등의 측면도 나타나는 점을 고려해 중장년층 고용의 양적 확대와 질적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해다.

배준수 기자
배준수 기자 baepro@kyongbuk.com

법조, 건설 및 부동산, 의료, 유통 담당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