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와 서울 집값이 문제가 아니다. 앞길이 캄캄한 청년의 미래가 더 큰 문제다. 문재인 정부 출범 당시 청와대에 내걸었던 ‘일자리 상황판’은 어떻게 됐나. 아무리 코로나19 팬데믹이 심각하고, 수도권 부동산문제가 심각하다고 해도 지금의 일자리 상황만큼 심각하지 않다.

경북 구미의 올해 상반기 실업률이 전국 77개 시 가운데 가장 높았다. 지난해 7월 25일 구미컨벤션센터(구미코)에서 열린 상생형 구미일자리 투자협약식에서 한 문재인 대통령의 “구미는 상생형 지역 일자리로 경제활력의 새로운 돌파구를 제시했다”고 한 말이 무색하다. 상생형 일자리를 외친 지 1년이 지났지만 아무런 효과가 없다.

이런 고용절벽은 비단 구미의 문제만은 아니다. 영양·청송·봉화·군위·의성 등은 청년 취업률이 전국 최하위 수준이다. 통계청이 지역별 고용조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코로나19로 인한 고용 상황 악화가 농촌보다 시 지역이 상대적으로 타격이 크다고 했지만 경북의 경우 시와 군의 크게 다르지 않다.

농촌 지역의 경우 급속한 고령화에다 청년 일자리 자체가 고갈된 상태여서 청년 유출의 악순환이 일어나고 있다. ‘실업률’을 낸다는 것 자체가 의미가 없는 지경이다. 이런데도 정부는 코로나와 수도권 문제에 집중하다 보니 청년실업이나 지방의 고용 문제는 정책 테이블에서 치워진 지 오래다.

대학 졸업을 앞두고 있는 청년들이 일자리를 찾지 못해 동분서주 하고 있다. 최근 수도권발 코로나19의 전국 확산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시행에 들어가면서 예정된 입사 시험일마저 취소되고 있다. 또한 일선 전문대학이나 대학의 경우 각종 자격시험에 대비한 실습을 하지 못해 취업을 앞둔 학생들이 발을 동동 구르고 있다. 이런 데도 정부는 청년들의 문제 해결에는 관심이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각종 실습의 경우 비대면 수업으로는 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에 특별한 가이드라인을 정해 학교에서 실습을 받을 수 있는 길을 열어주는 등의 적극적 조치가 있어야 한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7월 실업률이 4%로 7월 기준 2000년(4%) 이후 가장 높았다. 비경제 활동인구가 전년 대비 50만2000명이나 늘어 1655만1000명으로 최대치다. 특히 청년 체감 취업률은 사상 최악이다. 청년층(15~29세) ‘확장실업률’이 25.6%로 2015년 관련 통계 작성이래 7월 기준 최고다. 정부와 지자체는 파국의 고용 상황에 대한 대책을 하루빨리 내놔야 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