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일보 창간 30주년 기획 전문가 초청 좌담회
포스트 코로나 시대, '경북·대구 미래 비전' 제시

경북일보 창간 30주년을 맞아 8월 21일 대구경북연구원 11층에서 박무환 경북일보 대구본부장을 좌장으로 오창균 대구경북연구원장, 문추연 경운대 부총장, 하혜수 경북대 행정학부 교수, 김영철 계명대 경제금융학전공 교수 등 지역 석학들이 참가한 가운데 ‘뉴노멀 시대, 경북·대구 미래를 말한다’라는 제목으로 특집 좌담회를 열었다. 박영제 기자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아 경북·대구의 미래비전을 구체화하기 위해서는 ‘창조적 파괴’가 전제돼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경북일보가 창간 30주년을 맞아 ‘뉴노멀 시대, 경북·대구 미래를 말한다’라는 주제로 마련한 특집 좌담회에서 김영철 계명대 경제금융학전공 교수는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경제를 선도하기 위한 국가발전전략의 하나로 정부가 제시한 ‘한국판 뉴딜’ 정책은 ‘수도권 중심’이라는 외부적 환경 문제를 창조적으로 파괴하지 않는다면 실패할 가능성이 크다”면서 “지역이 나서서 강력한 문제 제기를 해야 하고, 지역사회가 기존에 갖고 있는 이해관계의 강고한 틀을 파괴한다는 전제가 있어야 먹거리산업이 창조된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지역대학이 창조적 파괴를 담당할 에이전트로 나서야 하고, 청년의 에너지를 모아내야 투자가 이뤄지면서 5G,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과 연계한 경북·대구의 독자적 DNA 생태계 구축과 신산업 육성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4.5면

오창균 대구경북연구원장은 “한국판 뉴딜은 추격형에서 선도형 경제, 탄소 의존에서 저탄소 경제, 불평등에서 포용사회로의 대전환을 위한 국가 발전전략인데, 주로 단기 임시 일자리와 서비스업에 맞춰져 있어 안정적인 일자리 창출에 한계가 있다”며 “자칫 잘못하면 ‘수도권 중심’ 현상을 심화시킬 것”이라고 지적했다. 오 원장은 “경북·대구는 단순하게 디지털 뉴딜, 그린 뉴딜 취지만 좇아서는 서울, 경기, 인천과 경쟁할 수 없다”면서 “해마다 기업 유출이 이어지면서 청년 인재가 급속히 빠져나가고 있는 만큼 지역교육 혁신과 혁신형 일자리 생태계 구축 등 지역 대학의 경쟁력 강화와 연계한 지역 인재 뉴딜 정책이 병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북일보 창간 30주년을 맞아 8월 21일 대구경북연구원 11층에서 박무환 경북일보 대구본부장을 좌장으로 오창균 대구경북연구원장, 문추연 경운대 부총장, 하혜수 경북대 행정학부 교수, 김영철 계명대 경제금융학전공 교수 등 지역 석학들이 참가한 가운데 ‘뉴노멀 시대, 경북·대구 미래를 말한다’라는 제목으로 특집 좌담회를 열었다. 박영제 기자

문추연 경운대 부총장은 “정부가 3대 신산업으로 선정한 바이오 헬스 산업이 경북·대구의 업체 규모는 수도권에 비해 미미한 수준이지만, 인력규모는 전국 3위 수준이어서 해볼 만하다”라면서 “큰 물고기가 작은 물고기를 먹었던 시대에서 빠른 물고기가 느린 물고기를 먹는 시대를 맞아 백신 공장이 있는 안동을 중심으로 한 경북과 대구가 관련 기업이 관심을 가지는 신기술, 수요를 파악하고 그 기술을 어떻게 전파할 것인지 고민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언택트 시대를 맞아 ICT와 인문학을 접목한 미래형 도시로 나아갈 수 있는 방안에 대해 하혜수 경북대 행정학부 교수는 “인공지능과 스마트폰 등의 기술을 느림과 감성을 중시하는 인문학적 요소와 융합하면 지역의 문제도 해결할 수 있고, 미래형 도시로 나아갈 수 있다”면서 “통합신공항, 행정통합, 저출산 문제, 인력유출 문제, 일자리 갈등 모두 인공지능의 도움을 받으면 얼마든지 해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박무환 경북일보 대구본부장이 좌장으로 나선 이날 좌담회에서는 경북·대구 행정통합을 위해서는 시·도민의 동의가 필수이고, 시·도민과 이해관계자에 대한 폭넓은 의견수렴이 꼭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개방적 정체성 정립과 공동체 비전 공유 등을 극대화하기 위한 공론화위원회 설립방안도 나왔다.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사업과 관련해서는 K-2 군 공항 이전과 이전 터 개발이라는 단순한 토건 사업적 관점에 매몰 되면 안 된다는 지적과 함께 중앙정부나 서울의 예산에 의존하는 방식을 탈피해 초 연결사회 방식의 네트워크를 만드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관련기사
배준수 기자
배준수 기자 baepro@kyongbuk.com

법조, 건설 및 부동산, 의료, 유통 담당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