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 ‘마이삭’으로 경북·대구에 8만9000여 가구가 정전 피해를 입었다. 정전 피해가 가장 큰 지역은 경북 포항으로 3만2002가구에 전기가 끊어졌다. 포항에는 태풍 마이삭이 내습한 3일 오전 3시께부터 남구 구룡포읍과 대보면, 해도동 일대 3000여 가구가 6시간 넘게 정전됐다. 경주에도 2만여 가구가 정전 피해를 입었다. 포항 구룡포읍 일대와 경주 감포·외동읍 일대에서는 휴대전화까지 먹통이 돼 그야말로 암흑천지였다.

경북 동해안의 영덕군 지역에도 1만5700여 가구, 울진군 지역에 1만8500여 가구에 정전이 되는 등 경북 동해안 시군 전역에서 정정사태가 빚어졌다. 또 안동이 2600여 가구, 영천 2300여 가구, 영양·봉화 각 900여 가구가 정전됐다.

이런 정전 사태로 포항의 일부 공장 가동이 중단됐고, 포항 구룡포와 호미곶 등 어류 양식장에서는 양식어류 집단폐사가 발생했다. 정전 가정의 시민들은 밤새 에어컨은 물론 냉장고 등 가전 제품을 사용하지 못해 큰 불편을 겪었다.

이 같은 정전 피해에 대해 한국전력 대구본부는 지역별로 정전 발생원인이 다르지만 동해안 정전 원인으로 주로 나무가 바람에 쓰러지거나 부러져 전선을 건드려 발생했다고 밝혔다. 포항 북구 양덕동이나 남구 구룡포읍, 경주 외동읍 등에서는 쓰러지거나 부러진 나무에 의한 정전이라는 것이다. 한전의 이 같은 해명은 무책임하기 짝이 없다.

태풍이 자연재해라고는 하지만 한꺼번에 너무 많은 정전피해가 났다. 전신주가 넘어지거나 전기 시설물이 파손되는 것은 물론 쓰러진 나무나 부러진 나뭇가지에 전선이 걸려서 정전이 됐다는 것은 평소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것을 반증한다. 강력한 태풍이 연중 한 두 번은 매년 반복되는 일인데 이렇게 정전 피해가 커서야 주민들이 어떻게 안전하고 안락한 생활을 유지할 수 있겠나.

정전 피해를 단순한 태풍에 의한 자연재해로 치부해서는 안 된다. 그간 한국전력의 정전 방지 대책이 형식적이지 않았는지 되돌아 봐야 한다. 이번 피해의 원인을 철저히 분석해서 태풍에 대비한 정전 사태 재발방지 대책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안정적인 전력공급은 선진국과 후진국을 가르는 잣대나 다름없다. 한전은 정전 예방에 보다 적극적인 노력을 해야 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