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경북도와 대구시 등 광역 자치단체의 역점 과제가 ‘통합신공항 이전지의 확정’과 ‘경북·대구 경제통합에 이은 행정통합 방향 설정’이었다. 이제 신공항 입지가 결정됐고, 행정통합 논의가 본궤도에 올랐다.

경북과 대구는 경제 통합을 넘어 행정통합 이뤄내야 하는 절체절명의 상황이다. 경북과 대구는 ‘보수의 텃밭’으로 영남의 주인행세를 해왔다. 경북·대구는 한국 현대사에서 박정희·전두환·노태우·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이 태어나거나 자란 ‘풍패지향(豊沛之鄕)’이라고 불린다. 하지만 지금은 변방의 도시로 전락해 있다.

경북과 대구는 과거 서울, 부산에 이어 호명되던 우리나라 중추도시였지만 대전은 물론 경기도나 인천보다도 위상이 추락해 있다. 이런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규모의 경제’를 이뤄야 한다. 경북은 30년 간 대구의 품 안에 도청이 자리 잡고 있다가 지난 2016년 안동 예천으로 이전했다. 대구시도 숱한 논란 끝에 공론화를 통해 신청사를 대구의 서남권인 달서구 두류정수장터에 짓기로 했다.

이제 경북과 대구가 살아남기 위해 문화, 교육 중심 대구와 생산 중심의 경북이 하나가 되는 행정통합을 해야 하는 것은 숙명이다. 이런 절실함 속에 다음 주 대구경북 행정통합을 위한 범 시·도민추진위원회와 공론화위원회가 출범한다. 이제 방향이 정해진 만큼 좌고우면해서는 안 된다. 법적, 행정적 통합 절차가 산 넘어 산이지만 속도감 있게 진행해야 한다.

경북·대구가 행정통합에 대한 구체적인 방향 설정도 하기 전에 최근 부산·울산·경남(부울경)이 ‘동남권 메가시티’ 구상을 내놨다. 부울경은 행정과 교통·물류, 문화·관광, 재난·안전, 교육, 복지·보건, 먹거리 등의 분야에 구체적인 사업 계획을 수립해 추진하기로 했다. 경북·대구 보란 듯이 수소메가블록 구축, 광역인프라 구축, 공공의료본부 설립 등을 공동과제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최근에는 광주·전남의 통합 논의도 시작돼 경북·대구가 먼저 논의를 시작한 ‘메가시티 구상’이 추세를 형성하고 있다.

범 시도민추진위원회 구성과 공론화위원회 출범을 계기로 경북·대구 통합의 당위성을 시도민에게 적극 이해 시키는 것이 급선무다. 시도민의 깊은 공감대가 형성돼야 원활한 논의가 가능해 질 것이다. 지난 통합신공항 입지 결정에서도 보았듯이 절차적 정당성을 확보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행정적, 법적으로 적법 절차를 소홀히 하면 오히려 일의 진척이 늦어진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