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홍수 디지스트 로봇공학전공 교수(오른쪽), 제1저자 김은희 박사과정생(가운데), DGIST-ETH 마이크로로봇 연구센터 김진영 선임연구원.
디지스트 연구팀이 중증 뇌질환 연구를 위한 신경세포 전달 마이크로로봇 개발에 성공했다.

최홍수 로봇공학전공 교수 연구팀은 4일 체외 환경에서 원하는 위치에 정밀하게 신경세포를 전달해 신경망을 연결하는 신경세포 전달용 마이크로로봇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인체 조직 치료를 위해 약물 치료, 수술 등이 가능한 마이크로로봇 기술 연구가 각광받고 있다.

마이크로로봇은 외부 자기장을 통한 무선제어로 세포나 약물을 낭비 없이 정교하게 전달 가능하다.

최 교수 연구팀은 마이크로로봇의 장점을 활용해 신경세포 전달 및 신경망 연결이 가능한 플랫폼을 개발했다.

마이크로로봇은 3D 레이저 리소그라피 공정을 통해 300㎛(100만분의 1m)의 길이로 제작됐다.

로봇몸체에 신경세포를 배양할 수 있도록 5㎛ 사이즈 패턴의 홈을 만들었다.

구조체는 자기장 구동 및 생체적합성을 위해 니켈과 산화 티타늄 박막의 금속 증착 공정을 거쳤다.

연구팀은 마이크로로봇의 신경망 연결 능력을 검증하기 위해 신경세포가 내는 전기신호 측정 시스템인 ‘다중 전극 어레이(Microelectrode array·MEA)’ 칩 위에 각각의 해마 신경세포들을 따로 분리시켜 배양했다.

또한 마이크로로봇 몸체에 해마 신경세포를 배양 후 칩 위의 해마 신경세포들을 연결하기 위해 마이크로로봇을 이동시켰다.

신경세포를 실은 마이크로로봇은 빠르게 움직여 분리된 신경세포들 사이를 연결했고 두 신경세포에서 오가는 전기신호를 확인했다.

이를 통해 원하는 패턴으로 신경망의 연결이 가능함을 최초로 확인했으며 다수의 신경세포를 연결해 생리학적 기능을 분석할 수 있음을 증명해 냈다.

최홍수 교수는 “이번 연구성과는 마이크로로봇이 체외 신경세포를 원하는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어 다양한 신경계 질환 연구를 위한 기능적인 생체신호 분석이 가능하다”며 “신경세포의 전기생리학적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응용 연구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현목 기자
김현목 기자 hmkim@kyongbuk.com

대구 구·군청, 교육청, 스포츠 등을 맡고 있습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