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B본점 서울 이전 "불가능하다"

DGB금융지주 직원들이 근무하는 대구은행 제2본점 전경.

전북은행과 광주은행을 주력 자회사로 소유한 지방은행 지주회사인 JB금융지주는 본점을 전주에 두고 설립됐지만, 본점이 아닌 서울사무소에 업무를 집중시켰다. 본점 기능이 분산되는 데다 임직원들의 잦은 서울 출장으로 비용 부담과 업무 비효율이 가중됐다. 지주회장을 비롯한 집행간부 5명 중 4명이 서울에서 업무를 수행했고, 전략기획부와 재무기획부, 미래전략부, 경영지원부 등 지주와 그룹 내 중요 결정을 하는 핵심부서와 임직원의 75명 중 48명(64%)가 서울에서 근무하는 데다 이사회와 주요 위원회도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모두 서울에서 열었다.

이런 탓에 전북은행과 광주은행의 여수신 점유율이 감소하고 여신 증가액이 수신 증가액보다 더 적거나 오히려 감소하는 등 자금의 원활한 중개를 통해 지역경제와 금융을 활성화한다는 지방은행 설립 목적을 충족하지 못한 셈이다. 실제 전북은행의 여신과 수신은 2016년 말 25.8%와 33.9%에서 지난해 1분기 23.9%와 26.1%로 떨어졌고, 광주은행은 2016년 말 24.9%와 28.9%에서 지난해 1분기 20.0%와 27.3%로 감소했다.

사정이 이렇자 금융감독원은 JB금융지주에 대한 검사를 벌여 지난달 23일 금융회사의 주의 또는 자율적 개선을 요구하는 행정 지도적 성격인 경영유의사항 조치를 했다. 설립등기가 된 지방에서 금융지주의 본질적인 기능을 수행하면서 주력 자회사의 지역 내 영업과 자금중개 기능 활성화라는 의무를 다하라는 뜻이다.

최근 대구에 뿌리를 둔 대구은행을 주력 자회사로 소유한 DGB금융지주의 본점 서울 이전 관련 보도 해프닝도 JB금융지주의 사례를 보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쉽게 알 수 있다. 금융감독원 특수은행검사국 이훈 국장은 “지방은행 지주회사 본점의 서울 이전을 법으로 막을 수는 없지만, 감독기관인 금융감독원의 검사를 통해 본점 기능 분산을 통한 비효율 경영을 바로잡을 수 있다”면서 “경영유의사항 조치를 받은 JB금융지주는 6개월 안에 조치 이행계획을 제출해야 하고, 이행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행정지도방식으로 끝까지 바로잡을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지방은행 지주회사의 본점 서울 이전을 내버려두면 모든 지방은행 지주회사들이 서울로 몰려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DGB금융지주 관계자는 “2018년에 대우조선해양으로부터 펀드를 통해 지분참여 형식으로 인수한 서울 중구 을지로 17층짜리 빌딩에 대구은행과 생명, 캐피탈, 지주사 부서 등을 한데 모으겠다는 계획이 DGB금융지주 본점 서울 이전으로 와전된 언론보도가 나와 당황스러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구를 소재지로 한 대구은행을 기반으로 만든 DGB금융지주가 본점을 외부로 옮길 일은 전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배준수 기자
배준수 기자 baepro@kyongbuk.com

법조, 건설 및 부동산, 의료, 유통 담당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