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환동해시대 남북경협과 북방교역의 대동맥 역할을 할 ‘동해안대교’ 건설을 최우선 과제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늦은 감이 있지만 환영할 일이다. 우선 그간 영일만을 가로지르는 다리라고 해서 ‘영일만횡단대교’로 불러오던 것을 ‘동해안대교’로 명명한 것도 매우 적절한 것이다.

이 대교가 영일만에 놓이게 되지만 포항시에 국한된 사회간접자본(SOC)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 해상교통로가 완성되게 되면 부산~경남을 잇는 거가대교처럼 인근 지역 전체의 물류에 지대한 영향을 끼칠 뿐 아니라 부산~울산~경북~강원을 잇는 물류의 동맥이 연결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될 것이다.

정부는 그간 국가균형발전을 부르짖어 왔지만 국토개발이 서해안과 남해안을 연결하는 L자형 도로망 구축 중심으로 이뤄져 왔다. 이에 비해 동해안권은 철도는 물론 고속도로의 연결이 극히 부진한 상황이다. 이 때문에 국가 균형발전을 위해서 오래 전부터 동해안의 고속도로와 철도망을 연결하는 국토의 ‘U자형’ 개발이 이뤄져야 한다고 했지만 지금까지 지지부진한 상태다.

이번에 정부 여당의 책임 있는 자리에 있는 실권자들이 우선 ‘동해안대교’ 건설에 힘을 쏟겠다 약속을 한 것은 매우 고무적이다. 지난 7일 포항을 찾은 정세균 국무총리가 포항지진 피해 회복을 위한 방안으로 ‘동해안대교’ 건설을 위한 지혜를 모으겠다고 했다. 하지만 정 총리의 이 같은 견해는 옳지 않다. 단순히 포항지진 피해 회복을 위한 보상 차원으로 동해안대교를 건설한다는 것은 정부의 포항시에 대한 특별 시혜로 잘못 인식될 것이기 때문이다. 동해안대교는 포항시를 위한 것이 아니라 국토 균형발전을 위한 환동해 국책사업으로 추진 해야 한다.

정 총리보다 앞서 경북·대구 현장 최고위원회의를 연 더불어민주당 이낙연 대표도 동해안대교 사업을 꼭 챙기겠다고 약속했다. 이처럼 당정 수뇌가 동해안대교 건설에 대해 강한 의지를 보인 만큼 경북도는 이 호기를 놓쳐서는 안될 것이다. 동해안대교 건설 관련 사업 예산이 내년 국가 예산에 포함될 수 있게 적극 노력해야 한다.

쇠뿔도 단김에 빼라고 했다. 경북도와 포항시는 당정이 이처럼 지원을 약속한 때에 부산과 울산, 경북을 거쳐 강원도로 이어지는 북방교역의 대동맥을 연결하는 핵심 사업인 ‘동해안대교’ 건설에 지역 역량을 총동원해 이뤄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