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0년 전 조리서부터 현대소설까지' 탄생한 문화마을

두들의 밤

영양군 석보면 원리리에 자리잡고 있는 두들마을은 ‘언덕 위에 있는 마을’이라는 뜻으로 1994년 정부로부터 문화마을로 지정됐다.

1640년 석계 이시명 선생이 병자호란을 피해서 들어와 개척한 이후, 그의 후손인 재령 이씨들이 집성촌을 이루며 살아왔다. 조선시대 1899년에는 이곳에 국립병원 격인 광제원이 있었다 하여 ‘원두들, 원리’라 부르기도 한다.

마을에는 석계 선생이 살았던 석계고택과 석계 선생이 학생들을 가르쳤던 석천서당을 포함해 전통가옥 30여 채를 비롯해 한글 최초의 조리서 ‘음식디미방’을 쓴 정부인 장씨를 기리는 안동장씨 유적비, 이문열이 세운 광산문학연구소 등이 있다.

두들 마을 내 표지석

마을 옆 둔덕에는 석계 선생의 서당인 석천서당과 석계고택이 남아 있으며, 마을 앞으로 흐르는 화매천 가에 서 있는 암석들에는 석계 선생의 넷째 아들인 항재 이숭일이 새겼다는 동대, 서대, 낙기대, 세심대 등의 글씨가 아직도 남아있다.

마을은 일찍이 석계 선생이 영해에서 이주해 정착한 후 크게 문풍이 일었던 곳으로서, 훌륭한 학자와 독립운동가 등을 배출했다.

조선시대에는 길암 이현일과 밀암 이재 등이 퇴계 이황의 학문을 계승 발전시켜 후학에게 널리 전했고, 근세에는 내산(奈山) 이현규가 의병 대장을 지냈으며, 유림 대표로 파리장서사건에 서명한 독립운동가 운서 이돈호와 이명호, 이상호 등도 이 마을 출신이다.

또 항일 시인인 이병각과 이병철, 소설가 이문열을 배출했으며, 조선시대 양반가의 음식조리서인 음식디미방을 저술한 정부인 장씨의 장녀 교육에 대한 덕행과 이야기들이 전해지는 곳이기도 하다.

2020년 두들마을은 옛 모습 그대로 잘 갖춰진 문화의 마을이며, 우리나라 최초 요리서인 정부인 장씨의 ‘음식디미방’ 전통 요리를 재현 우리나라 대표적 전통 종가 음식의 중심지로도 꼽히며, 현대 문학의 거장 소설가 이문열의 고향이기도 하며, 그의 소설 ‘선택’ 등의 배경장소로 유명한 곳인 원리리 두들마을에 광산문학연구소에서 문학의 향기도 느낄 수 있는 마을 이기도 하며 최근 들어 음식디미방체험관, 정부인 장씨 유적비와 예절관, 음식디미방 교육관, 전시관, 광산문학연구소, 북카페 등이 들어서 운영되고 있다.
 

석보 두들마을

△ 과거의 모습이 고스란히 보존된 마을.

두들 마을에는 고택이 많다.

대표적 석계고택은 조선시대 유학자였던 석계 이시명의 고택으로 이시명은 일찍이 생원에 올랐으나 입신양명의 뜻을 버리고 고향에서 일생을 학문 연구에만 힘썼다. 1640년(인조 18) 영양군 석보로 들어가 석계 위에 집을 짓고 자신의 호를 석계(石溪)라고 하였다.

석계 고택

이 집은 이시명과 정부인 장씨가 살던 집으로 사랑채는 일자형으로, 안채 2동은 이자형으로 배치하여 토담으로 막아 허실감을 메우고 뜰집과 같은 느낌을 갖게 했다. 사랑채는 대문을 중심으로 왼쪽에는 마구와 고방을 배치하고, 오른쪽에는 사랑방과 사랑마루를 설치했다.

1990년 8월 7일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91호로 지정된 320년이 넘는 유서 깊은 집이다.

석천서당

석천서당은 석계 이시명 사후에 1676년(숙종 2) 상을 마친 넷째아들 이항재가 돌아와 선업을 이었는데 이항제가 죽은 뒤 그 유적지를 그대로 둘 수 없어 자손들과 유림들이 초당을 중건하고 석천서당을 창건, 1770년(영조 46)에 기공하여 1771년에 준공했다.

그 뒤 1891년(고종 28)에 중수하면서 2칸을 더 지었으며 석천서당에는 수산수진수창 석계기, 과석계유허유감, 갈암차운 석천서당 중수기 등이 있다. 또 서당고에는 안릉세전, 석계선생문집, 정부인안동장씨실기, 정묵제선생문집, 항제선생문집, 영천집 등 목판이 소장되어 있다.

주곡고택은 조선 중기 유학자인 주곡 이도(1636~1712)가 주남리에 건립했던 것을 후손들이 순조(1830)에 이곳으로 이건했으며,‘ㅁ’자 구조의 이 집에는 수장 공간이 많은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산지 마을의 특성이 곡식의 저장성을 중요시한 것이 특징이다.

이 밖에 유우당과 석간 고택이 있으며, 최근에는 영양군의 지원을 마을 전체를 한옥 마을로 복원하고 있다.
 

영양 장계향문화체험교육원 모습

△ 정부인 장씨의 최초 요리서 음식디미방의 조리 비법을 재현한 장계향 문화 체험관.

음식디미방은 현존 최고의 한글 조리서로 1670여 년 경, 여중군자 장계향(1598~1680)이 후손들을 위해 일흔이 넘어서 지은 조리서이다.

음식디미방은 한자어로 그 중 디는 알 지의 옛말이며 음식의 맛을 아는 방법이라는 뜻으로, 지금으로부터 약 340년 전에 쓰여진 우리나라 최초의 한글 조리서이다.

장계향 문화체험관에서는 전통주도 직접 빚는 체험을 할수 있다.

340여 년 전 경상북도 영양지방에 살았던 사대부가의 장계향 선생(1598~1680)이 자손들을 위해 일흔이 넘어서 지은 조리서로서 1600년대 조선조 중엽과 말엽, 경상도 지방의 가정에서 실제 만들던 음식의 조리법과 저장 발효식품, 식품보관법 등을 소개하고 있다.

책표지에는 한자로 규곤시의방이라 쓰여 있다. 책은 앞뒤 표지 두 장을 포함해 총 30장의 필사본으로 되어있으며, 1600년대 중엽과 말엽, 경상도 양반가의 음식 조리법과 저장·발효 식품, 식품보관법 등 146가지를 소개하고 있다.

음식디미방 정부인 상차림

조선 중후기 양반가의 식생활과 문화를 짐작할 수 있는 전통음식 연구의 지침서이자 관계전문가들의 교본이며, 정확하고 다양한 어법과 철자로 사전적 큰 가치를 지니고 있다.

음식디미발체험장

석보 두들마을 내 2018년 개원한 장계향 문화 체험 교육원에서는 다양한 공간시설 활용을 통해 워크숍, 교육연수 기능 외 전통음식체험관에서는 음식디미방음식 시식, 만들기 체험,전통한옥체험에서는 전통한옥체험을 통한 휴식공간 제공과 다도체험, 예절교육, 전통혼례, 고택음악회 등 볼거리뿐만 아니라 다양한 체험도 할 수 있다. 또 장계향 선생의 삶이 깃든 여러 가지 유물들도 전시하고 있다.
 

이문열 생가

△이문열과 광산문학연구소.

1948년 경북 영양군 석보면 원리리에서 출생해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를 중퇴하고 1977년 단편 ‘나지레를 아십니까’가 대구 매일신문 신춘문예에 가작으로 당선되면서 등단했다.

1979년에는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새하곡(塞下曲)’이 당선되었고, 같은 해 중편 ‘사람의 아들’로 오늘의 작가상을 받으면서 왕성한 창작활동을 전개해 80년대에 가장 많은 독자를 확보한 작가의 한 사람으로 꼽힌다.

그의 소설의 특징은 탄탄한 구성과 문장의 탁월함으로, 자전적 요소가 강하게 드러나 있다. 대표작으로는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있다’, ‘젊은날의 초상’, ‘시인과 도둑’ 등이 있다.

이문열의 광산문학관 모습

광산문학연구소는 2001년 5월 12일 한국현대문학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문학도 양성을 위해 설립된 문학연구소이다.

이곳 두들마을은 그의 소설 ‘선택’의 직접적인 배경 장소이며, ‘그해 겨울’, ‘그대 다시는 고향에 가지 못하리’, ‘금시조’, ‘황제를 위하여’등 많은 작품 속 인물들의 삶의 역정이 펼쳐지던 무대이기도 하다.

학사 6실, 강당 및 사랑채 등으로 이루어진 이곳에서 수시로 문학강연과 문학토론회 등이 개최되며 작가와의 만남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정형기 기자
정형기 기자 jeonghk@kyongbuk.com

경북교육청, 안동지역 대학·병원, 경북도 산하기관, 영양군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