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식 포항지역위원회 위원·시인
이상식 포항지역위원회 위원·시인

식물은 꽃을 피우는 때가 제각기 다르다. 대부분 새봄에 미모를 뽐내나 일부는 낙엽이 떨어지는 가을에 개화를 한다. 그들은 꽃을 피울 시기를 어떻게 감지할까. 과학자는 이를 궁금히 여겼다. 그것은 낮의 길이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식물은 광합성 작용을 하고자 햇빛에 민감하다. 해가 비치는 시간을 감지하는 기능이 프로그램화됐다. 한데 어떤 식물의 경우 따뜻한 봄날이 아니라 서늘한 추계에 만개하는 까닭은 무엇일까. 이는 생존 경쟁과 관련된다. 지구상 생명체는 다른 생물과 어우러져 나름의 존립을 이어간다.

곤충과 꽃식물 공생 관계도 그러하다. 봄엔 수많은 꽃들이 피면서 화분 매개자 유인도 쉽지 않다. 이런 싸움을 회피하고자 아예 개화기를 늦춰 차별화하는 것이다. 미물의 지혜로운 선택인 듯하다.

영화 ‘범블비’는 십대 소녀와 변신 로봇 간의 우정을 그렸다. 대개 남성들 판타지인 트랜스포머 작품에 여성을 히로인으로 삼아 감성을 자아낸다. 우주에서 악당 로봇과 싸우다가 지구로 피신한 착한 로봇. 폭스바겐으로 둔갑한 녀석은 고장이 나서 웅웅 소리만 내며 말을 못한다.

이에 여주인공은 호박벌처럼 웅웅댄다며 ‘범블비’란 별명을 붙인다. 둘은 합심하여 디셉티콘을 물리친다. 꿀벌과인 호박벌은 말벌과 판이하다. 무엇보다 성격이 온순하다. 말벌은 사나운 성정을 지녔다. 특히 장수말벌은 가장 크고 힘이 세며 독성이 강하다. 땅속에 둥지를 짓는 최고의 육식성 벌이다.

문학과 예술은 벌들을 예찬한다. 심지어 종교도 그들의 생태를 닮고자 애쓴다. 대략 이만 종의 벌들 가운데 일곱 종의 꿀벌이 우점종. 다른 자연 세계와 달리 벌은 여성 중심 사회다. 교배는 일처다부제 방식이 기본이다. 여왕벌은 최대 29마리 수벌과 교미한다고.

일만 삼천 년 전쯤에 그려진 구석기 동굴 벽화는 벌과 인간의 유구한 역사를 보여준다. 기원전 4세기 아리스토텔레스는 그 혜택에 대해 언급했다. 고대 이집트인은 최초의 양봉가로 전해진다. 나일강을 따라 이동하면서 다양한 꿀을 채취했다. 또한 미라를 만들 때는 벌꿀과 밀랍과 프로폴리스를 시신에 발랐다.

히브리인 어린이는 토라를 처음 접한 날에 히브리 문자에 바른 꿀을 핥아 먹는다. 배움이 달콤하길 염원하는 의미다. 중동 지역 신랑 신부는 장식된 그릇에 담긴 꿀과 레몬을 서로 권하는 풍습을 가졌다. 벌은 여신 숭배와도 연결된다. 다산의 여신인 아르테미스는 벌집과 함께 묘사된다.

무슬림 신앙은 벌의 이미지로 교리를 은유한다. 탈무드 같은 유대교 경전은 벌에 비유한 가르침을 전한다. 구약 성경은 ‘젖과 꿀이 흐르는 땅’으로 가나안을 묘사했고, 유대인을 이끈 여성 예언자 드보라는 벌이란 뜻이다.

시구에도 벌은 좋은 대접을 받는다. 신석정 시인은 ‘과수원에 꿀벌이 잉잉거릴 때에 새빨간 능금을 같이 따자’고 읊었고, 아일랜드의 예이츠는 ‘아홉 이랑 콩밭 일구고 꿀벌 치며 숲속에 홀로 살리라’ 노래했다.

벌은 의사소통을 어찌할까. 이를 연구한 공로로 오스트리아 학자 프리슈는 노벨상을 받았다. 소위 ‘원형춤’과 ‘흔들춤’이다. 꿀벌은 이를 통해 식량원·거리·방향에 대한 정보를 교환한다. 벌을 대하는 공포심은 상당 부분 언론에 의해 와전됐다. 벌침에 쏘인 경험은 이를 극대화한다. 캐나다 토론토는 도시 옥상 양봉이 많다. 그래도 사고는 없다고 말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