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띠해인 신축년 새해를 앞두고 전국 곳곳에 소와 관련한 지명이 눈길을 끈다.

소는 예로부터 근면함과 풍요로움, 희생과 의로움을 상징하는 동물로 인식되면서 그와 관련한 지명도 많다.

국토지리정보원은 2021년 신축년을 앞두고 전국의 고시지명을 분석한 결과 소와 관련된 지명은 총 731개로 집계됐다고 27일 밝혔다.

소 지명은 용(1261개)과 말(744개)에 이어 세 번째로 많다.

소와 관련된 지명이 가장 많은 곳은 전남이며, 강진군 강진읍 ‘우두봉’을 비롯해 모두 204개에 달한다. 경북은 94개로 경남(96개)에 이어 세 번째로 소 관련 지명이 많았고, 대구는 1곳이 있었다.

글자별로 살펴보면 ‘우산(23개)’, ‘우동(9개)’, ‘우암(8개)’ 등의 순으로 소 관련 지명이 전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종류별로는 마을(566개·77.4%)이 대다수이며 뒤이어 섬(55개·7.5%), 산(53개·7.2%) 등 순이다.

소 형태에서 유래한 산 이름은 많다.

청도 ‘와우산’은 소가 누운 형상에서 비롯된 산 이름으로 청도뿐 아니라 전국 곳곳에 있다.

포항에는 흥해읍과 우현동을 연결하는 고개인 ‘소티재’가 있다.

소가 누워 있는 형국이란 데서 따왔다는 설, 소 장수가 날이 저물어 골짜기에서 자던 중 소뼈가 가득 쌓인 꿈을 꾼 데서 유래했다는 설, 작은 고개란 의미의 ‘쇠티’가 변음된 것이란 설 등이 있다.

포항시 북구 신광면 우각리는 비학산 쪽에서 보면 와우형상(臥牛形象)의 뿔이 돋은 듯한 지대에 마을이 형성돼 있다 해 불리어진 지명이라고도 한다.

마을 이름에 다양한 소 이야기나 소와 관련된 흥미진진한 전설도 많다.

구미시 산동면 인덕리에는 의로운 소 무덤이란 뜻의 ‘의우총’이 있다.

이 무덤을 만든 연대는 정확한 기록이 없어 알기 어렵다.

다만 조선시대인 1630년(인조 7) 선산부사 조찬한이 무덤과 관련한 얘기를 전해 듣고 의우전을 기록하고 비를 세웠다.

기록에 따르면 김기년이 암소를 데리고 밭을 갈던 중 호랑이가 뛰어나와 소와 김기년에게 덤벼들었다. 그때 소가 뿔로 호랑이를 공격했고, 달아난 호랑이는 얼마 가지 못하고 죽고 말았다.

김기년은 자신이 살아난 것은 소 덕분이라며 소가 죽으면 자기 무덤 옆에 묻어 달라고 유언했다.

주인이 죽자 소는 죽을 먹지 않고 3일 만에 죽었고 마을 사람들은 소 무덤을 만들었다고 전해진다.

포항시 북구 우현동은 소티재를 소우(牛)와 고개현(峴)으로 옮긴 한자 이름이다.

소와 연관된 농기구 이름이 섞여 들어간 지명도 전국에 51곳에 이른다.

그 중 봉화군의 ‘구우밭’ 등은 소 먹이통인 구유와 관련된 지명이다.

남현정 기자
남현정 기자 nhj@kyongbuk.com

사회 2부 데스크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