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석경호 교수·김종헌(제1저자) 경북대 의과대 연구팀

석경호, 김종헌 경북대 의과대 연구팀이 치매 병리현상 중 하나인 뇌염증에서 농도가 증가하는 생체단백질 C8-감마의 염증완화 기능을 규명했다.

C8-감마는 염증반응에 보조역할을 하는 성분 중의 하나인 C8-복합체의 구성 단백체다.

치매의 주요 병리현상인 뇌염증은 뇌에 발생한 감염에 대응하거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세포반응이다.

주로 성상교세포와 미세아교세포 등 교세포의 활성에 의해 일어난다.

교세포는 주로 신경세포 생존과 활성 지지 기능을 가진 성상교세포와 뇌 속 청소를 담당하는 미세아교세포로 구성된다.

경미한 뇌염증은 회복되지만 과도한 뇌염증은 비가역적인 뇌 손상을 일으켜 치매의 원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연구팀은 뇌염증이 동반되는 치매 동물모델이나 치매환자의 뇌에C8-감마 단백질 농도가 정상군보다 높게 나타나는 것을 관찰했다.

뇌척수액과 혈액에서도 정상군보다 이 단백질의 농도가 늘었다.

이에 따라 뇌염증·알츠하이머병 동물모델을 이용, 급성 뇌염증이 성상교세포를 자극해 C8-감마 발현을 유도한다는 것을 찾았다.

이를 실제 알츠하이머 환자의 뇌조직에서 검증했다.

C8-감마가 S1P와 S1PR2 간 상호결합을 경쟁적으로 저해, 과도한 미세아교세포의 활성을 억제하는 기전을 밝혀냈다.

S1P는 염증활성 촉진, 세포이동 등 다양한 세포 활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진 단백질이며 SIPR2와 S1P의 결합은 미세아교세포의 염증 활성을 촉진한다.

치매환자에서 C8-감마 단백의 농도 증가는 진단을 위한 실마리가, 미세아교세포 활성 저해를 통한 염증완화라는 C8-감마의 역할은 치료제 개발 연구의 실마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석경호 교수는 “C8-감마는 다른 조직에서 C8-복합체 형태로 분비되지만 독립형 C8-감마는 뇌에서만 특이적으로 발현한다”며 “진단 활용 가능성이 더욱 높고 생체단백질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보다 안전한 치료법 개발의 실마리가 될 것”이라는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부통신부·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기초연구사업(MRC) 등의 지원으로 진행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과 한국 뇌연구원 공동으로 수행됐으며 뇌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브레인(Brain)에 지난달 31일자로 온라인 표지논문으로 올랐다.
 

김현목 기자
김현목 기자 hmkim@kyongbuk.com

대구 구·군청, 교육청, 스포츠 등을 맡고 있습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