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덕 에스포항병원 마취통증의학과 진료과장
김용덕 에스포항병원 마취통증의학과 진료과장

척추는 우리 몸을 지탱하는 기둥과 같다. 시간이 흘러 한 집의 기둥이 낡고 약해지듯이 나이가 들면 척추가 약해지고 척추 주위의 구조물에 손상이 오기 쉽다.

척추관협착증은 여러 원인에 의해 척수(spinal cord)가 지나는 척추뼈 안의 공간인 척추관이 좁아지면서 그 안에 신경근 압박이 생겨 통증이 유발되는 질환이다.

척추관협착증에는 관절염의 변화·디스크 돌출·외상 등으로 인한 ‘후천성 척추관협착증’, 수술 후 상당히 심한 경막외섬유화(peridural fibrosis)로 인한 ‘의원성 협착증’ 그리고 척추의 퇴생성 변화로 발생하는 퇴행성 협착증(degenerative stenosis) 등으로 구분된다.

척추관 협착증에서 임상 증상들에 숨어있는 기전은 복잡하고 다양한 것으로 알려진다.

협착으로 인한 압력이 신경근과 경막낭(dural sac)에 가해질 뿐 아니라 주위의 혈관에도 가해질 수 있다.

척추관협착증에서 가장 흔한 임상증상은 요통인데, 통증이 일시적 또는 만성으로 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증상은 자세에 따라 다양하고 통증도 하루 일과 동안 자주 악화 완화를 반복하는 경향을 보인다.

주목해야 하는 요추관협착증의 특징적인 증상은 간헐적신경인성파행(neurogenic intermittent claudication)이다.

보통 환자들은 100m만 걸어도 다리가 터질 듯 아프다고 호소한다. 신경인성파행에서 다리 통증은 흔히 걸으면 심해지고 쉬면 호전되는 특징을 가지는데, 다리 통증은 일반적으로 양측으로 오고 감각 이상을 동반할 수 있고 다리의 특정 부위가 아프다기보단 전반적인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통증은 걷는 동안 일반적으로 유발되지만 서 있을 때도 통증이 있을 수 있고 오히려 서 있는 자세가 통증을 악화시키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인 디스크증상에서는 허리를 구부리는 자세가 증상을 악화시키는 반면 협착증에서는 반대로 구부린 자세를 취하거나 앉아 있을 때 통증이 완화될 수 있다. 이것이 디스크와 협착증을 구분할 수 있는 중요 감별점이라고 할 수 있겠다.

척추관협착증의 진단은 임상 증상과 함께 방사선 검사를 통해 내려진다.

단순 방사선 검사(x-ray)는 좁아진 신경관의 가능성만을 엿볼 수 있고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CT나 MRI 검사가 요구된다.

그 중 MRI 검사는 척추관협착증의 원인과 정도를 가장 잘 평가하게 해준다. MRI 검사와 더불어 근전도검사도 척추관협착증의 진단 및 치료 계획을 세우는 데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척추관협착증에서 대부분의 환자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며 심한 신경학적 장애는 오랜 시간에 걸쳐서 발생하지 급속도로 나타나진 않는다.

최근 연구에서는 보존적으로 치료된 환자의 80%에서 증상은 4년 동안 악화하지 않았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에 따라 척추관협착증의 치료에 있어서 비수술적, 보존적 치료가 우선 고려된다. 휴식과 함께 비스테로이드성 진통제를 사용할 수 있고 진통제로도 통증 관리가 되지 않는 경우 경막외신경차단술이나 경피적경막외강신경성형술(PEN) 등을 고려해 볼 수 있다.

하지만 환자가 보존적인 치료에 반응하지 않고 증상이 계속 악화할 경우, 수술이 필요하게 되는데 협착된 부위의 감압술, 감압 후 척추유합술 등이 필요할 수 있다.

보통 수술을 통해 50~80%의 환자에서 좋아지거나 매우 좋은 경과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진다.

척추관협착증은 치료도 중요하지만, 예방이 더욱 중요하다. 협착증은 대표적인 퇴행성질환으로 완벽한 예방은 어렵더라도 바른자세와 적정체중유지, 걷기, 그리고 기립근강화운동(코어근육) 같은 꾸준한 근력 강화 운동 및 스트레칭이 예방에 도움된다.

특히 기온이 낮은 겨울철에는 신체 움직임이 줄어 허리 근육이나 주변 인대가 긴장해 협착증 증상과 진행을 다소 촉진할 수 있는 만큼 적절한 운동 및 스트레칭으로 인대와 근육을 풀어주는 게 좋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