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는 지난해 유독 사건 사고가 많았다. 설비와 산재 사고는 물론 중대재해가 끊이지 않았다. 화재와 폭발, 질식, 추락 사고 등 종류도 다양했다. 포항제철소와 광양제철소, 포스코건설 등 포스코 그룹의 최근 5년 간 산재 사망자 수가 모두 41명(노웅래 의원 자료)에 이른다.

또 대구지방고용노동청 포항지청이 지난달 17일부터 이달 11일까지 3주간 제철소 산업안전을 점검한 결과 산업안전보건법 위반사항이 331건이나 됐다. 이 가운데 안전난간을 설치하지 않는 등 추락위험 방지 위반 같은 엄중한 사안이 220건이었다. 아직 여전히 포스코 산업 현장의 안전이 허술하다는 것이 여실히 드러났다. 근로자 건강검진 미이행과 같은 관리 조치 미흡도 111건이나 됐다.

지난달 9일에는 포항제철소 내 3소결공장에서 협력사 하청업체 직원 1명이 집진기 보강공사 도중 추락해 사망했다. 또 다른 하청업체 직원 1명도 지난달 23일 오토바이를 타고 출근하던 중에 제철소 내 도로에서 덤프트럭과 충돌에 사망하는 등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지난 2018년 최정우 회장 취임 당시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하겠다’는 약속이 무색한 지경이다. 최 회장 취임 이후 3년 동안 1조 원 이상 안전분야에 집중투자하겠다고도 했다. 하지만 데이터가 말해주듯 포스코 산업 현장 안전의 개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지난해 11월 광양제철소에서의 폭발사고 이후 포스코가 향후 3년 간 1조 원을 추가로 투입해 위험·노후설비 등을 개선하겠다는 대책을 내놨다. 이 계획은 안전관리요원 2배 증원, 비상 안전방재 개선단 운영, 관계사를 포함한 전 임직원 안전 의식 제고를 위한 안전기술대학 설립이 골자다.

최 회장은 지난 4일 신년사를 통해서도 다시 한 번 안전경영을 강조했다. 최 회장은 “안전을 최우선 핵심가치로 철저히 실행해 재해 없는 행복한 삶의 터전을 만들어야 한다”면서 노후 안전시설이나 불안전한 현장을 적극 찾아 개선할 것을 주문했다.

하지만 아무리 거창한 구호나 계획도 현장에서 실천되지 않으면 허사라는 것을 포스코의 재해 기록이 입증하고 있다. 노동계가 포스코를 향해 “살인을 멈춰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기업의 생산성이나 실적도 중요하지만 인간 생명의 존엄성을 그 어떤 가치보다 우선해야 한다. 이제 강화된 중대재해법이 국회를 통과했다. 포스코와 협력사의 산업안전에 대한 일대 혁신이 있어야 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