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개 문중 경쟁하며 꽃피운 숭조·강학·유교 문화유산의 보고

문경시 산북면 내화리 전경.

문경시 산북면 내화리(內化里) 마을은 숫돌봉(595.3m)아래 금천(錦川)을 끼고 곳곳에 마을 사람들이 공유하고 이용하는 각종 영조물(營造物)이 배치돼 있다.

59번 국도가 남북으로 놓여있고 마을 안길은 이 국도에서 동서로 연결돼 100가구 내외가 살고 있다. 문경시청에서 16.5㎞ 동북쪽에 있으며, 국도가 동로면 마광리와 접한다.

이곳 마을주민 장사원(69) 전 문경시의회 의원은 “얘부터 이곳은 ‘금당맛질 반 서울이요, 화장 칡들 살기 좋다’고 이름난 곳으로 조선 성종 7년(1475) 인동장씨·반남박씨·예안김씨·영월엄씨 등이 차례로 세거하면서 문과(대과)급제 3인(장씨 1명·김씨 2명), 진사(소과)6명 등이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내화리 입구.

또한 근세에는 박사 9명, 교수 5명, 사·행시, 지방의원 등이 배출되는 등 4대 문중이 현재까지 한 번의 소송도 없이 화장 8경과 화장구곡을 노래하면서 비교적 풍요롭게 지내는 전통 유교마을이라고 소개했다.

특히 재실·정자·종택·묘우·사당·유허비 등이 문경시 자연부락 중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것은 물론 전국에서도 드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같이 이 마을에는 문경시보호문화유산 제3호인 선성김씨 종택과 사당, 당산목, 성황당 등 일반적인 전통마을들의 영조물 외에 인동장씨, 반남박씨, 선성김씨, 영월 엄씨 네 문중이 경쟁하듯이 세운 숭조(崇祖), 강학(講學) 문화유산이 즐비하다.

내화리는 본래 예천군 소속으로 1895년(고종 32년) 11개 마을을 엮어 화장면(花庄面)이 되면서 면 소재지였다. 그 후 1906년 1월 19일 상주군 산북면에 편입됐고, 그해 9월 24일 문경군 산북면으로 이관돼 오늘에 이르고 있다.

양천허씨(陽川許氏)가 처음으로 이주 정착해 수년 전까지 그 후손이 두 집 살았으나, 지금은 없고, 조선조 성종 8년(1477년) 예조참판에서 물러나 1482년 이곳으로 입향한 인동장씨 장말손(張末孫)의 후손들이 번성하게 살았다.

계은정

그러나 인동장씨도 입향 100여 년 후 손자 언상(1529~1609)이 종가 송설헌(松雪軒)을 영주시 장수면 꽃계마을로 옮겼으며, 그 후 하나둘 떠나기 시작해 현재는 다섯 집만 남았다.

오히려 20여 년 뒤 연산군 때 이 마을로 입향한 장말손(張末孫)의 사위 반남(潘南) 박인양(朴寅亮)의 후손과 이보다 100년 뒤 입향한 선성김씨(宣城金氏) 후손, 또 이보다 100년 뒤에 입향한 영월엄씨(寧越嚴氏) 후손들이 집성촌을 이루고 있다.

마을 이름 화장(花庄)은 인근에 폐사된 화장사(華藏寺)에서 유래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고, 이 폐사지는 ‘탑들’로 지금도 불리고 있으며, 여기에 남아 있는 3층 석탑은 1963년 보물 제51호로 지정돼 있다.

이 마을 동북쪽 동로 방면 1㎞쯤에는 노루목고개가 있으며, 이곳에는 6·25 직전인 1949년 9월 16일 이른 아침 무장공비에게 속아 동로로 출동하던 문경경찰서 이무옥 서장 등 경찰과 민간인 15명이 전사한 ‘경찰전공비’가 있어 우리나라 근현대사의 단면을 증언하고 있다.

조선시대 전통 마을을 뛰어넘어 6개의 정각(亭閣)과 4개의 재사(齋舍), 1개의 종택, 1개의 보물, 지금은 없어진 많은 정재당헌(亭齋堂軒) 등 유별난 마을이다.

△마을 내력과 연복군(延福君) 장말손(張末孫).

이 마을의 입구에는 2019년 11월 16일에 세운 연복군 송설헌 장말손 선생의 유허비가 있어 마을 내력 일부분을 알 수 있다. 이 유허비에는 연복군이 1482년에 이곳으로 입향했다고 기록돼 있다. 지금으로부터 538년 전이다. 그 이전에 양천허씨가 살았다고 하니, 이 마을은 최소한 조선시대 초 이전에 개척된 것임을 짐작해 볼 수 있다.

연복군의 맏사위 반남박씨(潘南朴氏) 인량(寅亮)은 연복군 입향 20여 년 뒤 이 마을로 입향했고, 연복군은 세조 하사품 중 옥피리를 이 맏딸에게 전하고, 그 맏딸은 또 맏딸에게 대대로 전해 이를 매개로 다른 문중과 공유하도록 했다.

그러나 이는 그리 오래 전하지 못하고, 외외손(外外孫)인 예천권씨(醴泉權氏) 문중에 전한 후 지금까지 보관해 오고 있다.

이는 외외손녀가 아들만 두고 딸을 두지 못했기 때문이다. 연복군이 받은 하사 품 중 패도(佩刀)는 보물이 되었고, 최근 예천권씨 문중은 자신들이 보관하고 있는 옥피리를 보물로 지정받기 위해 절차를 밟고 있는 것으로 알려 졌다.

△문경 내화리 삼층석탑(聞慶 內化里 三層石塔).

문경 내화리 삼층석탑(聞慶 內化里 三層石塔)은 통일신라시대 삼층석탑이다.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보물 제51호로 지정됐다.

높이 4.26m. 이곳에 화장사(華藏寺)가 있었고, 약 100년 전에 불탄 것으로 전해진다. 불상 등은 인근 대승사(大乘寺)로 옮겨가고 이 탑만 남아 있다. 단층 기단(基壇)에 4매의 지대석(地臺石)으로 구성했고, 중석(中石)도 4매의 판석(板石)으로 구성했다. 옥신(屋身), 옥개(屋蓋) 돌은 각각 하나로 구성했고, 옥신석에는 층마다 우주가 모각돼 있다.

△ 선성김씨(宣城金氏) 종택(宗宅).

1646년 입향조 김단(1610~1680)의 장인인 사고처사 권극해(權克諧)가 건축했다고 전한다. 사랑채는 대체로 원형을 유지하고 있고, 안채는 5대 주손 김낙룡(金樂龍, 1790~1870)이 개축했다. 종택 가까이 사당(祠堂)이 있고, 사랑채 앞에 산수정(山水亭)이 있다. 문경시 보호문화유산 제3호다.

△화장산성(化庄山城).

숫돌봉 8부 능선에 있다. 높이 1.2m, 너비 1m, 길이 240m 정도의 돌로 쌓은 성이다. 남서쪽으로 100여m의 흙으로 쌓은 성이 연결돼 있다. 임진왜란 때 용궁현감 우복룡이 이곳에서 적의 진로를 막고 적을 사로잡았다는 기록이 성재(省齋) 고상증(高相曾)의 ‘용사실기’에 있다. 또 동학란(1894~1985) 때 예천 동학교도들이 이곳에서 농성했다는 말이 전한다.

△ 경찰순직위령비(경찰전공비).

1949년 9월 16일 오전 7시 내화리 노루목고개에서 공비의 습격으로 경찰관 12명이 사망하고, 3명이 부상했으며, 민간인 3명이 사망한 것을 위무하기 위해 세웠다.

이 사건은 전날 밤 11시 동로지서에서 경비 근무 중이던 경찰특공대원 2명과 민간인 1명이 공비들의 습격으로 사망했고, 이날 새벽 보고를 받은 문경경찰서 이무옥 서장 등 28명의 경찰관과 민보단이 지프와 트럭을 타고 출동하다가 이곳에 매복한 공비들에게 습격당한 것이다.

원래 이 비석은 1954년 12월 25일 사건 현장에 ‘순직경찰관기념비’를 세웠던 것으로, 1981년 8월 2일 현재 이곳에 ‘경찰전공비’로 세운 것이다.
 

황진호 기자
황진호 기자 hjh@kyongbuk.com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