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해양조사원, 온실가스 배출량별 예측값 시나리오 발표

시나리오별 우리 주변해역 평균 해수면 전망 그래프.해양수산부
2100년에는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로 우리나라 주변 해역 평균 해수면이 최대 73㎝가량 상승할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앞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이 줄지 않을 경우, 최근 30년간(1990~2019년) 약 10㎝ 상승한 것에 비해 해수면 상승 속도가 2배 이상 빨라질 수 있다는 의미다.

국립해양조사원은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3년간 서울대학교 조양기 교수 연구팀과 함께 국내 최초로 고해상도 지역 해양기후 수치예측모델을 적용해 IPCC(기후변화 관련 전 지구적 위험 평가 및 국제적 대책 마련을 위한 유엔 산하 국제 협의체)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우리나라 주변 해역 해수면 상승 전망을 발표했다.
시나리오별 우리 주변해역 평균 해수면 상승 전망 분포도.해양수산부
그동안 IPCC에서 제공했던 전 지구 기후예측 결과(CMIP)는 해상도가 낮아 해수면 상승 정보를 상세하게 이해하기 어려웠다. 이에, 해양조사원은 우리나라 주변해역 해수면 현황을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는 ‘고해상도 지역 해양기후 수치예측모델’을 구축하고, IPCC의 기후변화 시나리오(RCPs) 3가지를 적용했다.

이 중, 온실가스가 현재와 같은 수준으로 지속 배출된다는 최악의 시나리오(RCP 8.5)에 따르면, 2100년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해수면은 최대 73㎝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온실가스 감축 정책이 어느 정도 실현되는 경우(RCP 4.5)에는 51㎝, 온실가스 배출이 거의 없어 지구 스스로가 회복하는 경우(RCP 2.6)에는 약 40㎝ 상승하는 결과를 보였다.
고해상도 지역 해양기후 수치예측모델의 효과(전 지구 모델과 차이 비교).해양수산부
IPCC는 제5차 평가보고서에서 21세기 후반에는 전 세계 해수면이 최소 26㎝에서 최대 82㎝ 가량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는데, 우리나라 주변해역 역시 이와 비슷하게 평균 40~73㎝ 정도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는 것이다. 또한, 해수면 상승 폭과 상승률은 모든 경우 황해에 비해 동해가 소폭 높을 것으로 전망됐다.

홍래형 국립해양조사원장은 “최근 기후 위기가 심각해지며 신 기후체제 출범, 탄소중립 선언 등 국제사회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라며 “기후변화 추세에 따른 정교한 해수면 상승 전망이 우리 연안관리와 정책 추진에 중요한 기초정보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