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슈머인사이트, 사회적 거리두기 전후 쇼핑 품목 변화 비교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화되면서 소비자들의 쇼핑지출 비율 중 50% 이상이 식품·음료에 몰린 것으로 나타났다.

비대면 사회로의 전환으로 집콕 인구가 늘어나면서 의류·잡화와 여행상품은 바닥을 친 반면 ‘나홀로 승자’가 된 셈이다.

특히 음료·식품은 그동안 오프라인 구매 비중이 높았지만 이 마저도 온라인 구매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내용은 4일 소비자 조사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발표한 지난해 ‘주례 상품구입 행태 및 변화 추적조사(연간 5만2000명)’결과에서 나왔다.

이 결과는 매주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소비행태 조사 결과를 △상품군별 최다 쇼핑지출 비중 △상품군별 온/오프라인 구매 비중을 코로나 전후로 나눠 비교 분석한 것이다.

먼저 소비지출 비중에서 식품·음료는 지난 2019년 7월 44%를 기록한 뒤 코로나19 1차 유행이 시작된 지난해 3·4월 49%~56%까지 치솟았다.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되면서 49%로 내려왔으나 연말 3차 대유행이 시작되면서 다시 55%로 껑충 뛰었다.

반면 여행상품은 가장 치명적인 타격을 입었다.

여행상품은 코로나19 확산 전 쇼핑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8%~10%에 달했으나 코로나19 확산 이후 2%수준으로 곤두박질 쳤다.

의료·잡화 역시 14%~16%에서 11%~16%로 감소세를 보였다.

즉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로 인해 집안에서 삼시세끼를 해결하는 사례가 많아지자 먹거리쇼핑만 부쩍 늘어 났다는 의미다.

식품·음료의 쇼핑 비중이 높은 이유에는 여행상품·의류 등 건강식품을 제외한 대부분 쇼핑대상 소비가 줄어든 것도 요인이 됐다.

식품·음료 구입 방법에도 큰 변화가 왔다.

식품·음료는 코로나19 확산 전인 2019년 7월 ‘오프라인 쇼핑 우세가 51%·온라인 쇼핑 우세 24%·비슷하다 25%’의 비율을 보였으나 지난해 12월에는 ‘40%·33%·26%’로 조사돼 오프라인 쇼핑 비중이 온라인 쇼핑 비중으로 대거 옮겨갔다.

이로 인해 오프라인·온라인 격차가 27%p에서 7%p로 좁혀졌다.

이 같은 소비행태 변화는 30·40대가 이끌었다.

특히 영유아 자녀를 둔 소비자층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구매 비중이 거의 비슷한 것으로 조사됐다.

컨슈머인사이트는 “일상적인 소비활동은 반복적·습관적이어서 일단 어떤 상품 서비스를 구입·이용하기 시작하면 다른 상품이나 서비스로 이전하기 어렵다”며 “코로나시대 2년차를 맞으면서 눈앞의 먹고 사는 문제(식품/음료)를 제외한 쇼핑 지출의 전반적 위축과 온라인 쪽으로의 이동은 되돌릴 수 없는 추세가 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종욱 기자
이종욱 기자 ljw714@kyongbuk.com

정치, 경제, 스포츠 데스크 입니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