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진자가 국내에서 처음 발생한 지 1년이 지났다. 코로나가 지구인의 삶의 방식을 송두리째 바꿔 놓았다. 무엇보다 변화의 가장 심각한 문제점이 양극화의 심화다. 경기부양을 위한 정부의 재정투입은 아파트와 주식 등 실물자산의 가치를 치솟게 하면서 부의 편중현상은 더욱 심화 됐다. 사업장이 줄줄이 문을 닫고, 실직자들이 거리로 내몰리는 등 서민들의 삶은 더욱 어려워졌다.

17일 대구경북연구원 김용현 빅데이터센터장과 임규채 경제일자리연구실장이 대경 CEO 브리핑에서 발표한 연구결과가 이 같은 극단적 상황을 잘 보여준다. 이 자료에 따르면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은 경북과 대구에서 소멸(폐업)사업장이 무려 19만8800개나 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줄폐업으로 취업자 수도 4만6600이나 감소했다. 한마디로 경북과 대구지역 경제가 초토화됐다.

지난해 경북의 소멸사업장은 15만9084개인데 반해 새로 문을 연 사업장은 14만5473개로 소멸사업장이 1만3611개 더 많았다. 대구도 소멸사업장 수가 3만9716개나 돼 신규 성립사업장 3만8884개보다 832개 더 많았다.

2019년과 비교해보면 대구는 음식점업, 경북은 전기·통신 공사업에서 소멸사업장이 많았다. 이렇다 보니 일자리 감소도 심각하다. 지난해 경북은 1만1700명, 대구는 3만4900명의 취업자가 감소했다. 전국 취업자 감소의 21.3%를 차지할 정도다.

이처럼 경북·대구의 상황이 전국에서 가장 심각한 지경이지만 고용보험 안전망은 상대적으로 허술한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자대비 대구의 고용보험 가입비율은 39.9%, 경북은 43.7%다. 전국 평균 51.8%에 훨씬 못 미친다. 지난해 경북의 실업급여지급자수는 8만6884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7% 늘었고, 실업급여지급액도 40.4% 늘었다. 대구도 실업급여지급자수가 14.2%, 실업급여지급액이 43.4% 증가했다.

경북·대구지역 사업장 19만8800곳 폐업은 상상을 초월하는 ‘충격’이다. 무엇보다 소규모 영세자영업과 소상공인 사업체에 대한 신속한 지원이 요구된다. 국가 재정을 직접 투입하는 일회성 손실보상을 하기보다 맞춤형 전직 지원 프로그램, 자영업 경영 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국민취업지원제와 같은 보다 실질적이고 지속 가능한 지원을 해야 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