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체채팅방에서 폭언·괴롭힘 등 특정 인물 따돌리거나 언어폭력 가해
교육부 조사, 전년보다 3.4%↑…중학교서 '사이버 불링' 비중 높아져

학교급별 피해유형 비율. 교육부 제공

최근 연예계와과 스포츠계에 학투(학교폭력+미투)가 쏟아지는 가운데 교육현장에서의 학교폭력은 장소와 방법에서 예전보다 더 은밀하고 다양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오프라인을 넘어 이른바 ‘사이버불링(cyber bullying)’이라고 불리는 사이버폭력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사이버폭력은 온라인에서 특정인을 따돌리거나 괴롭히고 욕설 등 언어폭력을 하는 행위로 단체 채팅방에서의 폭언과 괴롭힘, 상대의 데이터를 빼앗아 사용하는 와이파이 셔틀 등이 있다. 이 같은 현상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비대면 위주 수업으로 진행된 지난해 더 심해진 것으로 교육부 조사결과 확인됐다. 전문적인 교육 및 더 적극적인 예방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지난 1월 전국 17개 시도교육감이 조사하고 교육부가 발표한 ‘2020년 학교폭력 실태조사’에 따르면 2019년 1차 조사와 비교해 신체폭력, 금품갈취 등 오프라인 피해 유형의 비중이 감소한 것과 달리 사이버폭력 (3.4%p)과 집단 따돌림(2.8%p)의 비중은 증가했다.

피해 유형별 비중은 언어폭력(33.6%), 집단따돌림(26.0%), 사이버폭력(12.3%) 순이었다. 그 뒤를 이어 신체폭력(7.9%), 스토킹(6.7%), 금품갈취(5.4%) 순으로 나타났다.

언어폭력은 초등학교에서, 집단따돌림은 초 > 중 > 고, 사이버폭력은 중학교에서 비중이 가장 높았다.

지난해 9월 14일부터 10월 23일까지 6주간 이뤄진 조사는 전국 초등 4~고교2 재학생 전체(약 357만 명)를 대상으로 한 온라인 조사로 약 295만 명(82.6%)이 참여했다.

전체 피해 응답률은 0.9%로, 2019년 1차 조사보다 0.7%p 감소했다.

경북교육청과 대구교육청의 조사결과도 전국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경북교육청에 따르면 학교폭력 피해 응답률은 0.91%로 전국평균과 거의 같았고 2019년보다 0.67%p(3300여 명) 감소했지만, 사이버폭력은 3.7%p 증가했다. 피해 유형별 비중은 전국과 같았다.

학교폭력 피해 장소는 학교 안의 경우 교실(33.4%), 복도(12.1%), 운동장(7.6%) 순으로 많이 발생했고, 교외에서는 사이버공간(8.7%), 기타(7.8%), 공원, 골목, 공터 순으로 나타났다.

경북교육청 관계자는 “학교폭력 실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분석해 실효성 있는 대책을 수립하고 교육지원청과 학교의 학교폭력 대응 역량을 지속해서 강화할 것”이라며 “특히 사이버폭력에 대응하기 위해 경북 도내 전 학교를 대상으로 12차 시 이상 운영할 어울림 프로그램을 중 사이버 어울림 프로그램을 3차 시 이상 반드시 실시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대구교육청에 따르면 대구 지역 학생의 피해 응답률은 전국평균 0.9%보다 0.5%p 낮은 0.4%로, 2019년 0.5%보다도 0.1%p 감소했다.

대구의 경우 피해 유형별 비중에서 사이버폭력과 집단따돌림 외에도 언어폭력 피해 유형이 지난해보다 증가했다.

가해 이유로는 ‘장난이나 특별한 이유 없이’ 가 23.5%로 가장 높았고, ‘상대방이 먼저 나를 괴롭혀서’ 18.7%, ‘오해와 갈등으로’ 16.5%, ‘다른 학생의 행동이 마음에 안 들어서’ 13.4%, ‘다른 친구가 하니까’ 10.1%, ‘화풀이 또는 스트레스 때문’ 8.9% 등으로 나타났다.

대구시교육청 관계자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정서적 유형(언어폭력, 집단따돌림, 사이버폭력 등)의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 교우관계 회복에 중점을 둔 맞춤형 학교폭력 예방 교육을 지속해서 추진하겠다”며 “동시에 언어문화개선을 위한 맞춤형 학교폭력 예방 교육, 학교 내 대안 교실 및 친한 친구 교실, 또래 상담 및 또래 조정 등을 통한 또래 활동 중심으로 학교폭력 예방 역량을 강화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교육부 역시 사이버폭력에 대응하기 위해 관계부처, 시도교육청, 민간과 협력해 인터넷·스마트폰의 올바른 사용 교육을 강화하고, 사이버폭력 예방을 위한 교육활동과 캠페인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