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열리는 포스코의 정기 주주총회를 앞두고 최정우 포스코 회장에 대한 ‘정치외풍’이 거세다. 포스코는 지금까지 정치 외풍으로 예외 없이 CEO가 중도 교체됐다. 포스코는 2000년 9월 정부 지분을 전량 매각하고 민영화된 이후에도 권오준 전 회장을 비롯해 정준양, 이구택, 유상부, 김만제 등 5명의 총수가 임기를 다 채우지 못하고 중도 퇴진했다.

권 전 회장은 현 문재인 정부 들어 중도 퇴진했다. 권 회장은 2016년 대통령 취임 이후 첫 방미 경제인단에서 제외되더니 결국 임기를 다 못 채우고 물러났다. 당시 권 회장에 대해 정치권에서 ‘최순실 사태 연루설’, ‘전 정권 밀착설’ 등 온갖 설들이 돌더니 결국 퇴진했다.

이 같은 포스코의 CEO 중도 퇴진 흑역사가 또 다시 재현될 조짐이다. 권 전 회장에 이어 문재인 정부에서 두 번째 전방위적으로 전개되고 있는 정치권 외압이 심상찮기 때문이다. 한 정부에서 두 번이나 포스코 회장에 대한 정치 외압이 이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포스코는 12일 주총에서 최정우 현 회장의 연임을 기정 사실화하고 있다. 하지만 더불어민주당과 범여권이 집요하게 최 회장을 흔들고 있다. 정치권이 포스코에서 잇따라 발생한 대형 산재 사고를 빌미로 사실상 연임 반대 의사를 밝히고 있다. 지역에서는 정치권이 최 회장을 교체하고 입맛에 맞는 인사를 앉히려 한다는 루머가 돌고 있다.

민주당 이낙연 대표가 최근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포스코의 산재사고를 거론하며 분노를 금할 수 없다고 했다. 이보다 앞서 김태년 원내대표도 대기업에 산재사고가 반복되는 현상에 실망을 넘어 분노를 느낀다며 최 회장을 압박했다. 지난 3일 국회에서는 민주당 노웅래·윤미향 의원과 정의당 강은정 의원이 ‘최정우 회장 3년, 포스코가 위험하다’는 주제의 토론회를 열어 전방위로 최 회장을 성토하며 사실상 연임 반대 목청을 높였다. 민간기업 경영에 대한 정치권의 상식을 넘어서는 과도한 외압이다.

정치권이 최 회장의 아르헨티나 염호 35조 원 규모 리튬 잭팟 등 희귀자원 해외투자 성과 등은 거론하지 않고 산재 책임론을 들어 공세를 펴고 있다. 포스코는 최 회장 취임 이후 그간 흔들리던 경영이 안정을 되찾아가고 있다. 포스코의 경쟁력을 악화시키는 정치 외압은 이제 중단해야 한다. 이사회가 나서서 정치 외압을 막아 내고, 지배구조를 외압이 불가능하게 뜯어고쳐야 한다. 포스코 이사회는 ‘거수기’ 오명을 벗어야 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