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실문화도감 제5책 무구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이 왕실문화도감 제5책 ‘무구(武具)’를 발간했다. ‘무구’는 유물의 다양한 그림삽화와 시각자료를 함께 수록한 책으로 ’군사‘를 주제로 국내에서 처음으로 발간하는 사전식 도감이다.

국립고궁박물관은 조선 왕실 문화에 대해 일반인들이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문화콘텐츠 축적을 위해 ‘조선왕실 복식(2012)’, ‘궁중악무(2014)’, ‘국가제례(2016)’, ‘의장(2018)’을 발간해 왔으며, 이번에는 왕실문화도감 마지막 편으로 무기와 갑옷 등 군사 관련 기물을 아우르는 조선 시대 ‘무구’(武具)를 대상으로 각종 자료를 수록했다.

그동안 ‘군사’와 관련된 주제는 학계에서도 많이 다뤄지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용어와 내용이 어려워 일반인들이 쉽게 다가가기 어려운 분야 중 하나였다. 이번에 발간하는 ‘무구’ 도감은 국내와 해외에 소장된 무구 유물을 대상으로 다양한 시각자료와 알기 쉽게 풀이한 용어로 일반인이 우리나라 전통 무기를 친숙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창덕.
왕은 군대의 수장으로 국가를 보호하기 위하여 군대운용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병서 간행과 무기 개발에 적극적이었다. 또한, 다른 나라의 위력이 좋은 무기를 접하면 이를 받아들여 직접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여 국방력을 강화했다. 이번 발간물에서는 조선 시대 무기와 군사 복식을 성격별로 궁시, 화포, 도검, 창, 타살무기, 복식 총 6장으로 분류하여 134점의 무구 삽화를 공개했다.

△궁시(弓矢)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전통 무기인 활과 화살로 실전용뿐 아니라 의례용이나 신분을 나타내기 위한 화살과 관련 도구를 함께 수록했다. △화포는 화약의 폭발력을 이용해 철환이나 화살을 발사하는 무기로 ‘무구’ 도감에서 우리나라의 각종 화포와 조총, 불랑기 등 다른 나라로부터 도입된 화포까지 함께 수록했다. △도검은 조선 시대의 대표적인 칼인 환도(環刀)류 부터 사인검(四寅劍)과 같이 의미를 담은 상징적인 칼까지 정리했다. △창은 자루에 찌르기 위한 날이 달린 무기로 당파 , 요구창 등 다양한 형태를 수록했다. △타살무기는 무게와 휘두르는 힘으로 적을 타격하는 것으로 마상편곤(馬上鞭棍) 등 실전용 무기와 금속 부분을 입사로 화려하게 장식해 궁중에서 의례 시에 사용한 무구도 수록했다. △복식에서는 갑옷과 투구, 군복(軍服)과 군사에 관련된 일에 착용했던 복식인 융복(戎服)까지 정리했다.

불랑기(佛朗機)는 포신(砲身)인 모포(母砲)에 화약과 탄환을 넣은 자포(子砲)를 장착해 발사하는 화포이다.

사인검(四寅劍)은 인(寅)은 양의 기운이 강해 나쁜 기운을 물리칠 수 있는 힘을 지녔다고 여겨 인년(寅年), 인월(寅月), 인일(寅日), 인시(寅時)가 모두 적용이 되는 시기에 제작된 칼이다.

요구창은 끝이 밑으로 향하는 갈고리 모양의 날을 덧붙인 창이고 마상편곤(馬上鞭棍)은 말을 타는 기병(騎兵)이 사용했던 긴 몽둥이에 짧은 몽둥이를 고리로 연결한 타격 무기이다.

이번 도감에는 세부 문양, 무기 사용법, 다양한 구조 등을 세밀한 그림으로 구현해 무기를 처음 접하는 일반인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특히, 우리나라 전통 활의 사용 방법, 화포의 세부 구조, 갑옷의 내부 구조, 의장용 무기들의 세밀한 문양들을 세밀하게 삽화로 구현했다.

무구와 관련된 기초 자료로 각종 병서와 의궤, 조선왕조실록 등의 고문헌의 도설과 관련 회화자료들의 고화질 이미지를 함께 수록했다. 특히, 이번 발간물은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된 무구가 찍힌 유리건판 자료 44점을 처음으로 공개한다. 이는 일제강점기에 이왕가박물관 소장 유물을 촬영한 것으로 당시 유물의 상태나 현재 남아 있지 않은 재료와 형태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다. 특히, 현재는 남아 있지 않은 화포 가장 뒷부분의 모병(冒柄)에 자루가 꽂혀있는 모습이 남아있는 불랑기포 유리건판은 매우 희귀한 자료다.

모병(冒柄)은 화포의 가장 뒷부분에 움푹 들어간 부분으로, 막대기를 꽂아 손잡이로 사용했다.

곽성일 기자
곽성일 기자 kwak@kyongbuk.com

행정사회부 데스크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