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대형불화 정밀조사 보고서 보도자료_보고서
문화재청과 성보문화재연구원이 공동 추진하고 있는 ‘대형불화 정밀조사’사업의 2020년 조사 결과를 종합한 여섯 번째 보고서를 발간했다.

‘대형불화 정밀조사’는 대형불화의 과학적인 분석 자료를 축적하고, 원형을 잃을 경우를 대비한 복원 관련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문화재청이 성보문화재 연구원과 함께 2015년부터 10개년 간의 계획으로 진행하고 있는 사업으로, 과학적 분석은 국립문화재연구소가 수행해 조사의 전문성을 높이고 있다.

대형불화(괘불탱)는 야외에서 거행되는 영산재(靈山齋), 수륙재(水陸齋) 등 대규모 불교의식에 사용하기 위해 제작된 불화. 보통 10m가 넘는 압도적인 크기와 화려한 색채로 세계에서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우리나라의 독창적인 문화재이자 불교 문화재의 백미로 평가 받고 있다.
칠장사 오불회 괘불탱
이번 보고서에는 △신원사 노사나불 괘불탱(국보), △칠장사 오불회 괘불탱(국보), △칠장사 삼불회 괘불탱(보물), △청룡사 영산회 괘불탱(보물), △축서사 괘불탱(보물), △오덕사 괘불탱(보물), △고성 옥천사 영산회 괘불도 및 함(보물) 등 총 7건의 대형불화에 대한 과학적 분석 결과와 채색 정보, 관련 유물의 원형 자료와 보존 현황 정보 등의 내용이 종합돼 있다.

보고서에는 자외선-가시광선 반사 분광 분석을 적용한 청색과 흑색 유기 색료 해석 등 채색 재료 분석 데이터와 바탕 직물에 대한 조사 결과가 담겼으며, 특히, 이번에는 목재 궤에 사용한 철물 장석의 분석 결과를 새로이 담아 정밀조사의 연구 범위를 넓혔다. 이와 함께 전통 안료의 채색 기법 연구를 위해 현장에서 전문가들이 실물과 대조하여 재현한 안료의 조색표를 수록했다.

조색(調色)은 그림을 그릴 때 물감을 섞어서 그리고자 하는 빛깔을 내는 것이다.
칠장사 오불회 괘불탱-배금박 사례
이번 조사로 ‘칠장사 오불회 괘불탱’은 현재 전하는 괘불탱 중 유일하게 바탕색이 ‘배채법(背彩法)’으로 처리되고 일부분이 금박과 금니로 채색된 사실이 밝혀졌다. 그리고 얇은 비단인 초(초)를 일반적인 전통 직물의 폭보다 넓게 짜 제작해 그 위에 그림을 그린 것도 확인돼 17세기 불화 채색 기법과 직물 제직 기술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확보하게 됐다.

배채법(背彩法)은 종이의 뒷면에 색을 칠해 은은한 느낌이 앞으로 배어 나오게 하는 화법이다.

초(초)는 누에고치에서 뽑은 정련되지 않은 실로 제직한 평조직의 비단 직물. 가는 실로 치밀하지 않게 제직해 명주와 달리 직물이 얇고 투명하다.신라시대부터 전통적으로 사용된 직물이며, 고려·조선시대에는 복식뿐만 아니라 회화의 바탕재로 사용된다.

또한, ‘고성 옥천사 영산회 괘불도’의 복식 문양을 표현할 때 그간 17~18세기의 괘불탱에서 확인되지 않았던 ‘고분법(高粉法)’을 사용한 것을 밝혀냈으며, 장신구와 복식에서 안료에 가려져 있던 색상 표시 묵서 39자가 확인돼 여러 화원들이 분업해 대형불화의 채색을 완성해 나간 방식을 짐작할 수 있었다.

이외에 정밀 실측과 과학적 분석을 통해 크기와 재질을 정밀하게 분석했고, 그 결과‘청룡사 영산회 괘불탱’의 바탕재가 비단과 삼베를 혼합해 제작한 재질임을 확인했다.

고분법(高紛法)은 돋음 기법, 또는 살붙이 기법이라고도 한다.주로 목조 건물을 단청할 때 화면이 두드러지게 보이도록 그리는 방법으로 건축물의 단청과 벽화, 불화를 그리는 표현 기법 중 하나로 사용된다.

더불어 이번 조사의 결과로 ‘고성 옥천사 영산회 괘불도 및 함(固城 玉泉寺 靈山會 掛佛圖 및 函)’이 보물로 지정되는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올해에는 갑사 삼신불 괘불탱(국보), 금당사 괘불탱(보물), 율곡사 괘불탱(보물), 운흥사 괘불탱 및 궤(보물), 용흥사 삼불회 괘불탱(보물), 안국사 영산회 괘불탱(보물), 흥천사 비로자나삼신괘불도 및 괘불함(서울시 유형문화재) 등 7건을 대상으로 3월 22일부터 정밀 조사를 시행할 예정이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발간된 보고서를 일반에 공개해 학술연구에 널리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며. 보고서는 문화재청 누리집(http://www.cha.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곽성일 기자
곽성일 기자 kwak@kyongbuk.com

행정사회부 데스크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