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일자리 현황판’은 어떻게 됐나. 문재인 대통령 취임 후 첫 업무지시가 일자리 위원회 설치였다. 또 첫 행정명령으로 일자리 상황판을 설치하며 일자리 대통령임을 자임했다. 하지만 고용상황이 나아지기는커녕 최악 국면으로 치닫고 있다.

특히 청년층 실업률이 사상 최악이다. 학교에 다니지도, 취업도 하지 않는 청년 백수 니트족(NEET·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이 급증하고 있지만 무대책이다.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으로 청년들이 아르바이트 할 자리조차 없다.

여기에다 대기업조차 정시 채용을 하지 않고 경력자 상시채용으로 직원을 충원하는 것이 보편화 되면서 청년들이 취직 원서를 쓸 곳조차 없다. 경제 분야에 온갖 간섭을 하고 있는 정부가 대기업의 직원 채용에는 왜 간섭하지 않는지 모를 지경이다. 기업의 채용 방식을 수시 채용 방식에서 정시 채용으로 전환해 청년의 취업에 도움을 줄 수 있게 권고할 필요가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공식 실업자에 원하는 만큼 일하지 못하고 있는 취업자 등 체감상 실업까지 더한 확장실업자가 468만 명에 육박한다. 통계 집계 이래 같은 달 기준 최대치다. 특히 확장실업자 중 15~29세 청년층 비중이 30%에 가깝다. 2월 확장실업자 467만5000명 중 청년층이 130만7000명으로 28%였다. 실업자 10명 중 3명이 청년층인 것이다. 확장실업자 중에서도 사회에 첫 진입을 해야 할 20대가 124만4000명, 26.6%로 전체 연령대 중 가장 많았다. 좌표 잃은 청년 대책이 시급하다.

경북과 대구지역의 통계에도 청년 취업 절벽 현상이 확연히 드러난다. 동북지방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경북의 취업자는 135만 5000명으로 5만 4000명이 줄었다. 대구의 취업자도 118만 1000명으로 1년 전 같은 달보다 1만 2000명 줄었다. 대구경북연구원(대경연)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경북·대구 취업준비생이 6만2500여 명(경북 3만2000 명·대구 3만500명)으로 전년 같은 달 대비 16.6%포인트 늘었다. 대경연은 아르바이트, 일일 고용직 등을 포함한 경제활동인구를 포함하면 취업준비생 수는 더 많은 것으로 분석했다. 정부는 노년층 공공일자리로 생색낼 것이 아니라 국가의 미래가 달린 청년층을 위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 대책을 하루빨리 내놔야 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