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두기를 연장해서 달라진 게 뭐가 있나요. 서서히 말라 죽으라는 것 아닙니까?” 식당을 운영하는 한 자영업자의 하루가 지옥 같다는 탄식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차단을 위해 지난해 말 처음 도입한 5인 이상 사적모임 금지 조치가 지난 12일부터 3주간 연장됐다. 식당과 카페, 실내체육시설, 노래연습장 등 다중이용시설은 밤 10시까지인 운영시간 제한을 유지하되 언제든지 밤 9시로 1시간 앞당겨질 수 있다.

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현재 수도권 2단계, 비수도권 1.5단계)와 5인 이상 사적모임 금지 조치를 다음 달 2일까지 유지하는 조치를 내렸다. 지난해 코로나 발생 이후 지금까지 10번 째 연장 조치다.

영세 식당과 소상공인들은 이처럼 끝없이 이어지는 거리두기와 사적모임 금지 조치 연장으로 영업을 제대로 할 수 없는 지경이라고 아우성이다. 상인들은 정부의 조기 백신 확보 실패와 화이자와 얀센 백신 등의 부작용 보고 등 연일 불안한 소식이 알려지면서 희망도 점점 멀어지고 있다고 하소연하고 있다.

올해 초까지만 해도 정부가 전 국민이 맞을 수 있는 충분한 양의 백신을 확보했다며 백신 수송작전까지 해가며 홍보했지만 백신 접종률은 한심한 수준이다. 지난 2월 26일 백신 접종을 시작한 이후 14일까지 1차 접종을 완료한 사람이 모두 123만9065명으로 접종률이 2.38%에 그치고 있다. 백신 전쟁 전까지만 해도 선진적인 ‘K방역’을 자랑했지만 후진국 르완다에 비교될 정도의 낮은 접종률이다.

이 같은 현실 때문에 생업 현장에서의 목소리(경북일보 14일자 3면)는 절규에 가깝다. 상인들은 차라리 아예 문을 내리게 하는 강력한 조치를 취하든지 아니면 실제 민생 현장의 사정에 맞게 업종·업태별 세분화 맞춤형 매뉴얼을 적용하라고 한다.

끝없이 시민의식만 강조하는 틀어막기식 방역은 안 된다. 방역 의사 결정도 ‘답정너’가 아니라 민주적 소통을 해야 한다. ‘신속 진단키트 도입’ 문제처럼 정부가 그어 놓은 방역 지침에 맞지 않는다고 외면할 것이 아니라 활용을 통한 상생의 방법을 찾는 노력을 먼저 해야 한다. “이러다 서서히 말라죽는다”는 현장의 목소리를 외면해서는 안 된다.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