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를 보면 열을 안다. 경북과 대구교육청이 다른 공공기관에서는 대부분 다 인증받은 ‘가족친화 인증기관’에 무신경한 것으로 드러났다. 가족친화 인증제는 근로자들의 일자리와 생활균형 지원을 위한 자녀 출산과 양육지원, 유연근무제도 등을 적극적으로 시행하는 것을 권장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다.

경북도와 대구시는 물론 정부 부처와 기업집단까지 이 제도를 적극 받아들여 이미 인증받았다. 2008년 첫 도입된 이 제도는 2017년부터는 공공기관의 인증이 의무화됐다. 정부 부처로는 국무조정실과 감사원 등 정부 조직, 지방자치단체, 지방공사와 공단까지 해당된다.

전국적으로 2020년 말 기준 공공기관 1045개, 대기업 456개, 중소기업 2839개 등 4340개 사가 가족 친화 기업·기관인증을 받았다. 지역의 경북에서도 175개 사, 대구 134사가 인증받았다. 경북·대구 교육청을 제외한 경북도청과 23개 시군, 대구시청과 8개 구, 경북지방경찰청 등 대부분 기관이 가족 친화 기관인증을 받았다.

가족 친화 인증기업·기관에는 출입국 우대 편의, 물품구매 적격심사 우대, 공공기관 경영평가 반영, 금융기관 금리 우대 등 220개 혜택까지 제공되지만 지역 교육청은 담당 부서조차 없다.

2018년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조사결과에 따르면 가족 친화제도가 근로자 만족도를 61.1%, 근로자 생산성 49.2%, 근무 태도 45.8%, 기업 생산성을 43.5% 향상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다 이직률도 43.4% 감소시키는 등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북교육청과 대구교육청은 경북도·대구시와 함께 지역을 대표하는 공기관이다. 경북도는 도내 23개 시군 가운데 19개 시군이 초고령화 사회에 접어들고, 출산율이 급격히 줄어드는 한편, 청년들이 일자리를 찾아 외지로 유출되는 삼중재난에 대응하기 위해 안간힘을 쏟고 있다. 대구시도 청년 일자리 감소로 지역 인재의 외부 유출이 심각한 실정이다.

이런 때에 지역의 대표 기관인 교육청이 가족 친화적 직장문화를 외면해서는 안된다. 좋은 일자리를 만들어 청년들이 지방에 머물 수 있게 하는데도 손발이 맞아야 한다. 경북도와 대구시는 어떻게 하면 친화적 직장을 만들어 청년들을 잡을까 고민하고 있는데 교육청이 나 몰라라 해서야 되겠는가.
 

저작권자 © 경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